미국 전기차 시장 2위 현대차그룹, 상승세 꺾일까 우려
현재까지 BMW 측이 공식적으로 밝힌 파트너사는 중국 CATL과 EVE에너지 둘 뿐이다. 그런데 지난달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특히 미국 공장의 파트너사로는 비(非) 중국계 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고 있다. 실제 삼성SDI는 올해 연말까지 BMW 측에 파일럿 제품을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발효된 IRA의 후폭풍이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휩쓸고 있다. 북미산 전기차에만 전기차보조금을 주겠다는 이 법안이 만들어지면서 업체별로 비중국계 배터리 회사와 협력 논의를 이어가는 한편, 해외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돌려놓는 ‘리쇼어링’을 고민하는 곳들도 생겨난다.
북미에 이미 완성차 생산 공장을 확보한 완성차 업체들 중에서는 내년부터 적용될 배터리 광물, 부품의 탈(脫) 중국화 방안을 논의하기위해 국내 배터리사를 찾는 곳도 생겨난다. 내년부터 미국에서 최대 7500달러(1044만 원)의 전기차보조금(세액공제)을 받으려면 배터리 광물을 40% 이상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GM과 함께 미국 양대 완성차회사로 꼽히는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이번주 한국을 방문해 LG에너지솔루션, SK온과 배터리 협력에 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양사에 들어가는 중국산 광물 비중을 얼마나 낮출 수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최재원 SK온 수석부회장을 만나 중국산 광물 비중 축소 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며 “리튬, 코발트, 흑연 등 배터리 핵심 광물의 중국 의존도가 70%(글로벌)에 달하는 상황에서 IRA는 GM과 포드 등 미국 완성차 업체들조차 난감해 할 법안”이라고 말했다.
전 차종이 전기차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빠진 현대차그룹은 일단 ‘정중동’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달 미국으로 긴급 출국해 정관계 인사를 만났지만 뚜렷한 해법이 나왔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에 이어 2위에 올라 있는 현대차로서는 추가적인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미국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 미국 중간 선거 전까지 뚜렷한 해법이 나오긴 힘들 것”이라면서도 “업체들은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캐나다, 미국 방문을 계기로 중간선거 이후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에는 북미 지역 생산에 대한 예외 또는 유예 조항을 적용하는 등의 방안이 나오길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