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의료기관에서 활동 중인 전문의 수가 늘었지만 10명 중 5명은 의원급(동네 병의원)에서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의학과, 신경외과 등 의료사고 위험과 업무강도가 높지만 상대적으로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기피과 전문의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서 의원급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중증·필수의료 인력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전문의 수는 10년 전인 2012년에 비해 2만6727명 증가했지만, 의료기관 유형별 전문의 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의원급이 47.3%(4만4139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종합병원 19.3%(1만8058명), 상급종합병원 15%(1만4041명), 병원 11%(1만267명)의 순이었다. 10년 전인 2012년에도 의원이 47.8%(3만1902명)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17.7%(1만1786명), 상급종합병원 15.2%(1만119명), 병원 13.8%(9227명)이 뒤따랐다.
최근 통증, 투석, 척추 질환 치료로 문을 여는 병원이 늘고 있다고 알려진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응급의학과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비율은 마취통증의학과 2012년 17.1%에서 2022년 15.3%로, 재활의학과는 2012년 12.2%에서 2022년 9.8%로, 응급의학과는 2012년 26.2%에서 2022년 21.2%로 각각 감소했다.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일하는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비율은 2012년 39.5%에서 2022년 45.4%로, 재활의학과는 2012년 26%에서 2022년 30.6%로, 응급의학과는 2012년 5.7%에서 2022년 8.6%로 각각 증가했다.
신경외과 역시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의 비율은 17%에서 16.5%로 소폭 감소했지만, 의원급 의료기관은 20.6%에서 23.8%로 증가했다. 또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신경외과 전문의는 2012년 126명에서 2022년 193명으로 53.1% 증가했다.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신경외과 전문의도 2012년에는 한 명도 없다가 2022년 10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급에서 활동하는 전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피부과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9.8%에서 7.4%로 2.4%포인트 감소한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80.3%에서 84.4%로 4.1%포인트 증가했다. 성형외과 역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12.4%에서 9.6%로 2.8%포인트 감소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67%에서 73.7%로 6.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최근 저출생으로 진료가 줄고 있는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의원급 의료기관 전문의는 각각 58.2%에서 53.5%, 63.2%에서 52.3%로 감소했고, 상급종합병원은 7.3%에서 7.9%, 10.4%에서 13.8%로 소폭 상승했다. 외과, 흉부외과도 의원급 의료기관 전문의 비율은 감소(외과 2012년 46.2% → 2022년 39.4%, 흉부외과 2012년 33.3% → 2022년 30.4%)하고 상급종합병원 비율이 증가(외과 2012년 15.4% → 2022년 18.7%, 흉부외과 29.8% → 2022년 31.3%)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