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적자해소책 타격
서울시가 만성적인 공공 이동수단 적자를 줄이기 위해 공공자전거 ‘따릉이’에 기업 광고를 붙이고, 지하철역 이름을 판매하겠다고 나섰지만 정작 실적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데다, 공공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제한 규정을 적용하다 보니 관심을 보이는 기업을 찾기 어려운 것으로 풀이된다.
○ 따릉이 광고 유찰…市 “재공고 방침”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달 15∼22일 진행한 공공자전거 ‘따릉이’ 광고 사업권자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에는 기업이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다. 시는 최근 따릉이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따릉이 본체와 대여소 안내간판 등 4곳에 광고물을 부착할 기업을 찾아 왔다. 최저 입찰가는 연 6억4000만 원이며. 계약 기간은 2년이다. 시 관계자는 “따릉이 대수(약 4만 대)와 광고 면적 등을 고려해 산출한 금액”이라며 “동일한 조건으로 조만간 재공고를 낼 예정”이라고 했다.하지만 재공고를 내더라도 응찰 기업이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시는 공공성 훼손 논란을 우려해 특정 제품이 아닌 기업 이미지만을 홍보하게 하는 등 여러 제한을 적용하기로 했다. 주류 담배 도박 광고도 금지된다. 자전거 4만여 대가 2700여 곳의 대여소에 흩어져 이동하는 상황에서 일일이 광고를 붙이고 관리하기도 쉽지 않다.
○ 역 이름 판매 실적도 부진
재정난 극복을 위해 ‘역명 병기 유상판매’ 사업을 추진하는 서울교통공사도 실적이 신통치 않다. 서울교통공사는 올 6월 지하철역 50곳에 기업·기관 이름을 병기할 수 있는 권리를 입찰에 부쳤지만 16곳만 입찰에 성공했다. 이에 서울교통공사는 지난달 유찰된 34개 역을 다시 입찰에 부쳤지만, 2곳만 추가 판매됐다. 강남역(2호선), 시청역(1·2호선) 등 유동인구가 많아 당초 수월하게 팔릴 것으로 예상됐던 번화가 역들도 아직 판매 중이다. 상반기(1∼6월) 내놓은 50개의 역명이 다 팔린 후 하반기(7∼12월)에 50개 역명을 추가로 판매하려던 계획도 추진이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공사 관계자는 “유동인구 등을 고려해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된 역들을 내놨는데도 판매 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라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기업들이 광고비부터 줄이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역명 판매에 대한 시민 일부의 부정적 시선과, 해당 기업이 역에서 1km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는 등 입찰 제한 요건도 저조한 판매 실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사지원 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