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환율 1400원 돌파에 통화스와프 필요 커지는데…“쉽지 않다”

입력 | 2022-09-26 09:43:00


ⓒ News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한번에 0.75%포인트 인상)에 달러·원 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1400원을 뚫었다.

여기다 연준은 남은 11월, 12월 회의에서 금리를 더 올려 4%대 후반까지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향후에도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서 원화 가치는 더 떨어질 수 있는 셈이다.

이에 우리 정부 대응수단 중 하나로 통화스와프(원화와 달러화를 현재 환율로 교환한 뒤 나중에 애초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가 거론되지만, 전문가 사이에선 현 상황에 성사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당장 손쓸 방법이 마땅찮은 정부는 구두개입성 발언만 거듭 내놓고 있다.

26일 외환당국 등에 따르면 연준이 21일(현지시각)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지난 6, 7월에 이어 3번째로 연 2.25~2.5%인 기준금리를 0.75%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선택한 뒤 달러·원 환율은 1400원선을 내줬다.

지난 22일 달러·원 환율은 전장보다 15.5원 높은 1409.7원에 마감하며 13년6개월만에 1400원을 돌파했고, 23일에도 1409.3원으로 마감해 0.4원 내리는데 그쳤다.

향후 상황도 녹록지 않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21일(현지시간)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인플레이션을 의미있는 수준까지 떨어지도록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며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입장을 견지했다. 4연속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명동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뉴스1DB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는 금리역전 현상이 장기화될 거란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이는 해외투자자의 자금유출과 원화가치 하락,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국내 물가압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과거처럼 한국 기업이 고환율로 수출 덕을 보기도 어렵다. 판매가가 올라도 해외에서 들여오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점 등 때문이다.


이에 우리 정부 대응수단으로 통화스와프가 다시금 거론된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유동성 공급장치에 협력하기로 하면서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은 지난 22일 “통화스와프도 양국 외환당국 간 협의대상이 되는 유동성 공급장치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 사이에선 현 상황을 감안할 때 통화스와프 성사 가능성은 낮다는 진단이 나온다.

박정호 명지대 특임교수는 최근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미 통화스와프를 시도할 순 있지만, 미국 입장에선 세계 많은 국가가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하고 싶어 하는데 우리나라만 해주는 건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 대응수단이 마땅찮다는 우려도 언급했다. 그는 “미국 금리인상 기조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적 요인이 환율불안의 주범이라 대응 무기도 많지 않다”며 “수출을 잘해서 환율시장을 안정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우리 수출 성적표에 가장 중요한 중국시장이 거리두기로 정상가동이 안 되고 있어 그것도 쉽지 않다”고 봤다.

원화의 실질 가치가 아직 저평가 국면이 아니고 국내외에서 원화가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당국도 한미 통화스와프같은 무리한 방법 찾기 보다는 시장 안정에 우선 주력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원화 가치만 떨어졌는데, 최근에는 주요국 통화와 약세 현상이 거의 비슷한 모습으로 같이 가고 있다”며 “과거 양상과는 확연히 다르다”고 말했다.

외환당국은 시장안정조치 중 하나로 국민연금과의 100만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체결을 결정했다. 외환스와프 계약이 체결되면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에 필요한 달러를 한은에서 조달할 수 있게 된다.

(세종=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