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여론을 뒤집은 대통령의 이 한 마디[정미경의 이런영어 저런미국]

입력 | 2022-10-08 12:00:00

정치적 신조어부터 여론 메이커 ‘스핀닥터’까지
고도로 계산된 ‘정치 언어’의 세계




미국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하십니까. 영어를 잘 하고 싶으십니까. 그렇다면 ‘정미경의 이런 영어 저런 미국’으로 모이십시오. 여러분의 관심사인 시사 뉴스와 영어 공부를 다양한 코너를 통해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입니다. 아래 링크로 구독 신청을 해주시면 기사보다 한 주 빠른 월요일 아침 7시에 뉴스레터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신청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83995

2010년 워싱턴을 덮친 폭설 때 백악관에서 두 딸과 눈장난을 하고 있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왼쪽). 그는 ‘대설 지옥’이라는 뜻의 ‘스노마게든’(snowmageddon)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백악관 홈페이지

“You guys aren’t used to snowmageddon.”
(여러분들 스노마게든에 익숙하지 않죠?)
 
대통령은 힘들고 바쁜 직업입니다. 국정도 운영해야 하고 정치도 해야 하고 민생 시찰도 해야 합니다. 또 해외 순방에도 나서야 합니다. 외국에 나갈 때는 해외 언론이 주목하므로 꼭 ‘말조심’을 해야 합니다.
 
대통령은 ‘말’을 만드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세종대왕처럼 없던 언어를 새로 만든다는 의미가 아니라 세간의 화제가 되는 유행어, 즉 신조어를 만든다는 뜻입니다. 신조어를 만드는 것을 ‘coin’(동전)이라고 합니다. 신조어를 ‘coinage’(코이니지)라고 합니다. 쇠를 녹여서 동전을 만드는 주조(鑄造)의 과정처럼 신조어는 기존 단어를 활용해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2010년 2월 미 동부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습니다. 눈이 1미터 가까이 왔습니다. 대중교통은 올스톱되고 길거리는 제설차로 정신이 없고 직장인들은 출근하느라 전쟁을 치렀습니다. 의회에 출석하는 의원들도 모두 지각을 했습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대설 대책을 발표하면서 “여러분들 이런 ‘snowmageddon’(스노마게든)에 익숙하지 않죠”라는 농담으로 시작했습니다. 연설을 마무리할 때는 “snowmageddon에 나도 전쟁을 치러야 한다”며 백악관 앞뜰로 나가 딸들과 눈싸움을 벌였습니다.
 
‘snowmageddon’은 오바마 대통령이 만든 신조어입니다. ‘snow’(눈)와 지구 종말의 대전쟁을 의미하는 ‘armageddon’(아마게든)의 합성어입니다. 1998년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영화 ‘Armageddon’(한국명 ‘아마겟돈’) 개봉 때 이미 들어본 단어이기 때문에 ‘snowmageddon’은 금세 유행어가 됐습니다. 이후 큰 눈만 왔다하면 snowmaggdon이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미국인들은 대설 지옥을 긍정적인 마인드로 이겨내려 했던 오바마 대통령의 노력도 기억합니다. 신조어의 힘입니다. 오바마 대통령처럼 신조어 제조 능력이 뛰어났던 대통령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오른쪽)과 월터 먼데일 민주당 후보(왼쪽)의 TV 대선 토론을 계기로 ‘스핀닥터’(spin doctor)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도서관 홈페이지

“They’ll be the Spin Doctors.”
(그들이 바로 스핀닥터다)
 
‘spin doctor’는 미국 정치에서 흔히 쓰이는 단어입니다. 요즘 한국에서도 낯설지 않습니다. 대통령이나 주요 정치인들이 주목받는 언행을 했을 때 긍정적인 여론 조성을 위해 메시지를 만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홍보 전문가를 말합니다. 공식 언론 창구인 대변인일 수도 있고 막후에서 활동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가일 수도 있습니다.
 
이 단어가 생긴 것은 1984년 대선 때입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월터 먼데일 민주당 후보 간의 2차 TV 대선 토론이 열리는 날 아침 뉴욕타임스 사설에 ‘spin doctor’라는 단어가 첫 등장했습니다. 사설은 “오늘 토론이 끝나면 비싼 정장과 실크 드레스로 멋을 낸 남녀 10여명이 기자들 사이를 능숙하게 돌아다닐 것이다. 그들은 기자들에게 확신에 찬 의견을 제시할 것이다. 그들이 바로 스핀 닥터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열린 1차 토론에서 레이건 대통령은 죽을 쒔습니다. 그는 노쇠한 기색이 역력했고 먼데일 후보의 공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습니다. 레이건 선거 본부는 2차 토론 때 홍보 전문가들을 가동시켰습니다. 이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레이건 대통령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토론 결과를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토론을 취재하러 모인 기자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질문에 답하고 레이건 발언의 요지를 해석해줬습니다. 레이건 진영은 이 홍보 부대를 ‘spin doctors’라고 불렀습니다. 도널드 리건 당시 백악관 비서실장이 리더 격인 ‘Director of Spin Control’(스핀 관리 책임자)을 맡았습니다.
 
‘spin’은 ‘spin a yarn(얀)’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물레에서 실을 뽑다’라는 의미로 짧게 해도 될 얘기를 길게 늘어놓는다는 뜻입니다. ‘doctor’는 ‘의사’라는 뜻 외에 ‘전문가’(expert)라는 뜻도 있습니다. 레이건 대통령은 2차 토론에서 압승을 거뒀습니다. 스핀 닥터의 도움에 안도한 레이건 대통령은 여유 있게 토론에 임했습니다. 레이건의 명언 “I am not going to exploit, for political purposes, my opponent’s youth and inexperience”(나는 상대의 젊음과 경력 부족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지 않겠다)가 나온 것도 2차 토론입니다.

대중 앞에서 열정적인 연설을 하는 것을 즐겼던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이 만들어낸 단어 ‘불리 펄핏’(bully pulpit)은 국민에게 주요 정책을 알릴 수 있는 지도자의 권한을 말한다. 위키피디아

“I have got such a bully pulpit.”(나에게는 그런 불리 펄핏이 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같은 루즈벨트 가문인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에 밀려 한국에서는 별로 주목받지 못하지만 미국에서는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32년 먼저 권좌에 오른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과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사이의 가장 큰 공통점은 연설을 잘 한다는 것입니다. 연설 스타일은 다릅니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조곤조곤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방식이라면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장내가 쩌렁쩌렁하게 휘몰아치는 카리스마형 연설가입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국내적으로 독점 규제, 대외적으로는 파나마운하 운영권 획득 등 업적이 많습니다. 러일전쟁 후 양국의 포츠담조약을 주선한 공로로 미국 대통령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는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대중을 설득하기 위해 연설 무대에 올랐습니다. TV는 물론 라디오도 거의 보급되지 않은 시절이었습니다. 그가 연설을 할 때마다 “설교 좀 그만해라”는 야유도 나왔습니다. 그런 야유에 대해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내 연설에 ‘설교’라는 비판도 있지만 나에게는 그런 ‘bully pulpit’(불리 펄핏)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bully’는 ‘약자를 괴롭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왕따’(집단 따돌림)를 ‘bullying’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시어도어 대통령은 좋은 뜻으로 ‘bully’라는 단어를 썼습니다. ‘상대를 이해시키고 즐겁게 해준다’는 의미입니다. ‘pulpit’은 설교를 하는 ‘연단’을 말합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이 말한 ‘bully pulpit‘은 ‘대중을 설득하는 연설 무대’라는 뜻인 동시에 ’최고결정권자가 국민에게 쟁점을 알릴 수 있는 권한‘이라는 깊은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bully pulpit’은 미국 정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어입니다. 국민의 알 권리를 중시하는 미국에서는 대통령이 연설을 통해 직접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중 연설력이 뛰어난 대통령을 ‘bully pulpit president‘라고 부릅니다. 연설력을 지수화해서 대통령 순위를 매기는 ‘bully pulpit index’도 널리 활용됩니다.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bully pulpit’ 외에도 미국 사회에서 널리 통용되는 단어들을 다수 만들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추종하는 세력처럼 사회 주변부에서 활동하는 소수 극단주의 집단을 “lunatic fringe”(루너틱 프린지)라고 처음 부른 것도 그입니다. 글로벌 외교무대에서 미국의 역할을 “international police”(세계경찰)이라는 단어로 규정한 것도 그입니다. 사회적 책임감 없이 재산 축적에만 골몰하는 갑부들을 가리키는 ‘malefactors of great wealth’(위대한 부의 탈취자들)라는 딘어도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의 작품입니다.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확실치 않다’라는 뜻의 신조어 ‘이피’(iffy)를 만든 대통령이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도서관 홈페이지

“The whole thing is iffy.”
(모든 상황이 녹록치 않아)
 
미국 정치경제 발전에 큰 공을 세운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은 심오한 연설을 많이 했지만 사석에서는 농담도 잘 했습니다. 그가 만든 단어 ‘iffy’(이피)를 보면 루즈벨트 대통령의 유쾌한 면모를 알 수 있습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의 해결책으로 뉴딜 정책을 제시했지만 반대가 많았습니다. 그가 주도한 뉴딜 법안들은 좀처럼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기자들이 “뉴딜 법안이나 행사들이 어떻게 돼가고 있냐”고 묻자 지친 대통령은 “모든 상황이 쉽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신조어 ‘iffy’가 탄생한 순간이었습니다.
 
‘iffy’는 ‘if’(만약)를 형용사로 만든 것입니다. ‘확실치 않은’ ‘의심스러운’ 등의 뜻입니다. 이렇게 명사 뒤에 ‘y’를 붙여서 형용사를 만드는 사례는 많습니다. ‘muddy’(진흙탕의), ‘glossy’(매끄러운), ‘floppy’(헐렁한) 등이 있습니다. ‘iffy’는 쉽고 현대적인 발음 때문에 오늘날에도 많이 쓰입니다. ‘우유가 상한 것 같다’는 의미의 “the milk smells kind of iffy”는 미국인들이 즐겨 쓰는 표현입니다. 어떤 일을 할지 말지 망설일 때 “I’m iffy about”이라고 시작하면 됩니다. 
명언의 품격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침묵의 다수’(the silent majority) 연설이 지지를 얻으면서 이를 분석한 책들이 다수 출간됐다. 리처드 닉슨 대통령 도서관 홈페이지

1969년은 미국에게 혼란의 해였습니다. 그 해 초 임기를 시작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베트남화(Vietnamization)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베트남전에서 미군이 서서히 철수하면서 남베트남군에게 자국 방어의 임무를 단계적으로 이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미군 사망자가 급증한 상황에서 당장 철수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그해 10월 대학가에서 베트남전 종식을 위한 모라토리엄 선언과 대규모 연좌시위가 불붙었고 미국 도처에서 워싱턴으로 향하는 ‘죽음을 거부하는 행진’이 이어졌습니다.

“And so tonight - to you, the great silent majority of my fellow Americans - I ask for your support.”
(오늘밤 나는 위대한 침묵의 다수인 동료 미국인들에게 지지를 촉구한다)
 
1969년 11월 3일 닉슨 대통령은 베트남화 정책 지지와 시위 중단을 촉구하는 대국민 연설을 했습니다. 이 연설에서 ‘침묵의 다수’라는 뜻의 ‘silent majority’(사일런트 머조리티)가 처음 등장했습니다. 닉슨 대통령은 ‘침묵의 다수’와 ‘과격한 소수’(vocal minority)를 ‘현실주의자 대 이상주의자’로 대비시켰습니다. ‘과격한 소수’를 비난하지는 않았지만 결국 사회를 움직이는 것은 ‘침묵의 다수’라는 것이 연설의 결론이었습니다.
 
‘침묵의 다수’는 시대의 성격을 규정짓는 명단어가 됐습니다. 이 연설은 반전 반체제 시위를 우려스럽게 바라보던 기성세대 미국인들로부터 큰 지지를 이끌어냈습니다. 닉슨 대통령은 나중에 워터게이트 스캔들로 불명예 퇴진했지만 임기 초반에는 인기가 높았습니다. 연설 전 50%대였던 그의 지지율은 연설 후 81%까지 치솟았습니다. 사사잡지 타임은 그해의 인물로 ‘침묵의 다수’를 상징하는 ‘the middle Americans’(중간층의 미국인들)를 선정했습니다. ‘침묵의 다수’는 이후 많은 정치인들의 단골 선거 슬로건이 됐습니다.
실전 보케 360

조 바이든 대통령이 수여하는 국가 인문학 훈장을 받고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가수 엘튼 존(왼쪽). 백악관 홈페이지


실생활에서 많이 쓰는 쉬운 단어를 활용해 영어를 익히는 코너입니다, 최근 미 연예계 인사들의 백악관 공연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각종 시상식 때마다 연예인들을 초청해 축하 공연을 여는 것이 관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절에는 할리우드와 사이가 나빠서 연예인들이 백악관에 갈 일이 거의 없었지만 조 바이든 시대가 되면서 축하 공연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습니다.
 
최근 가수 엘튼 존은 백악관에서 열린 인문학 공로자 시상식에서 축하 공연을 펼쳤습니다. 자신의 히트곡 ‘Rocket Man’(로켓맨), ‘Tiny Dancer‘(타이니 댄서) 등을 열창했습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엘튼 존에서 국가 인문학 훈장(National Humanities Medal)을 수여했습니다. ‘엘튼 존 에이즈 재단’을 설립해 에이즈 퇴치를 위해 활동한 공로입니다. 축하 공연을 하러 온 줄만 알았던 엘튼 존은 바이든 대통령이 수상자라고 소개하자 깜짝 놀라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America's kindness to me as a musician is second to none.”(음악가로서 나에 대한 미국의 환대는 둘째가라면 서럽다)
 
앨튼 존의 수상 소감에 ‘second to none’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직역을 하자면 아무 것도 아닌 것(none)에 대한(to) 두 번째(second)라는 뜻입니다. ‘첫 번째,’ 즉 ‘최고’라는 의미입니다. 한국식 표현으로 하자면 ‘둘째가라면 서럽다’가 됩니다. “the best”라고 하면 되는데 “second to none”이라는 돌려 말하는 이유는 그것이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영어권에서는 최상급을 조심스럽게 씁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비교급을 통해 간접적으로 최상급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저런 리와인드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 장기 연재된 ‘정미경 기자의 이런 영어 저런 미국’ 칼럼 중에서 핵심 아이템을 선정해 그 내용 그대로 전해드리는 코너입니다. 오늘은 2020년 10월 19일 소개된 ‘선거 문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0년 대선을 앞두고 양당 선거본부는 티셔츠, 머그잔 등 각종 유세 상품을 내놓았습니다. 거기에 적힌 후보 지지 문구들을 들여다봤습니다.
 

2020년 대선 때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당신은 흑인이 아니야”(you ain’t black) 발언이 논란이 되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선거본부는 이 문구가 적한 티셔츠를 제작 판매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선 운동본부 홈페이지

▶2020년 10월 19일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1019/103501789/1

미국 대통령 선거가 보름 정도 남았습니다. 지금쯤 되면 양당 선거본부가 제작한 티셔츠, 머그잔, 스티커 등 홍보 상품 판매가 성황을 이룹니다. 그런 상품들을 ‘campaign merchandise’(캠페인 머천다이즈)’라고 합니다. 상품들이 진열돼 있는 양당 선거본부의 공식 온라인 쇼핑몰을 들여다봤습니다.  
 
“You Ain’t Black. Joe Biden.”(조 바이든, 당신은 흑인이 아니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는 최근 흑인 대상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만약 바이든과 트럼프 중에 누구를 찍어야 할지 망설인다면, 당신은 흑인이 아니다(you ain’t black)”라고 말해 논란이 됐습니다. 탄탄한 흑인 지지층을 가진 민주당 후보인 자신을 찍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자 흑인들이 반발했습니다. “우리를 가르치려는 것이냐”는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게다가 흑인들이 많이 쓰는 ‘ain’t’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도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흑인 영어를 흉내 내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공화당은 이 논란을 소재로 삼은 티셔츠를 제작해 판매했습니다. 티셔츠에 적힌 문구는 “You ain’t black. Joe Biden.” “조 바이든, 당신은 흑인이 아니잖아’라는 조롱입니다.
 
“Truth over Flies.”(파리가 아닌 진실을 선택하라)
 
최근 부통령 후보 TV 토론에서 파리 한 마리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의 머리 위에 앉아 떠날 줄을 몰라 화제가 됐습니다. 바이든 후보는 ‘내가 잡아주겠다’는 의미로 파리채를 들고 있는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파리채 컨셉이 인기를 끌자 민주당 선거본부는 아예 상품으로 만들어 판매했습니다. 워낙 잘 팔려서 현재는 품절 상태라고 합니다. 파리채 이름은 ‘Truth over Flies.’ 민주당 대선 슬로건인 ‘Truth over Lies’(트럼프의 거짓말이 아닌 바이든의 진실을 선택해 달라)’에서 ‘Lies’를 ‘Flies’(파리들)’로 살짝 비튼 것입니다.
 
“No Malarkey.”(허튼소리 작작해)
 
바이든 후보는 “no malarkey”(노 말라키)라는 말을 즐겨 씁니다. ‘malarkey’는 ‘허튼소리’라는 뜻입니다. “no malarkey”라고 하면 “허튼소리 그만해”라는 뜻입니다. 바이든 선거본부는 이 문구가 적힌 버튼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습니다. 내친김에 전국을 돌며 벌이는 버스 유세 이름도 ‘No Malarkey Tour’라고 지었습니다.

정미경기자 micke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