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세상 떠난 폴 앨런 소장품 150여 점 경매에 나와
여러분 안녕하세요.
1970년 레이크사이드스쿨에서 함께 있는 폴 앨런(왼쪽)과 빌 게이츠(오른쪽)
마이크로소프트를 빌 게이츠와 함께 창업했던 폴 앨런을 아시나요? 미국 워싱턴의 명문 사립학교인 레이크사이드스쿨에서 빌 게이츠를 만나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를 창업했지만 1982년 호지킨병(혈액암의 일종)에 걸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인물입니다.
그 후에는 스포츠, 음악, 우주,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며 사업가로 영향력을 발휘했는데요. 2018년 세상을 떠난 그의 예술 컬렉션이 자선 경매에 나왔는데, ‘500년 미술사를 담았다‘라고 할 정도로 화려합니다. 같이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이자 수십조대 재산을 갖고 있었던 자산가 폴 앨런의 컬렉션이 11월 크리스티 자선 경매에 공개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머, 스포츠 구단주, 자선 사업가 등의 직업을 가졌던 그는 어떤 작품을 모았을까요? 그리고 그 작품들은 억만장자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해주고 있을까요?.
◆ “나치 프로파간다 예술 철거하라!” 바젤리츠의 요구:
독일 출신의 현대미술가이자 뛰어난 조형 감각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작가인 게오르그 바젤리츠가 뮌헨의 공립 미술관에 걸려 있는 히틀러가 좋아했던 작품을 철거하라고 요구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바젤리츠는 이 작품이 '나치 프로파간다 예술'이라며 미술관에 걸려 있는 것이 "충격적"이라고 비판했고, 미술관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모네, 고흐, 세잔 … 베이컨, 호크니까지…!
빈센트 반 고흐, 사이프러스 나무가 있는 과수원(Verger avec cyprès), 1888년, 65.2 x 80.2cm, 사진: 크리스티
○ 미술사 교과서 같은 컬렉션
500년 미술 역사가 담긴 컬렉션: 이번 경매에는 폴 앨런이 소장했던 작품 중 약 150여 점이 출품됩니다. 크리스티는 최근 이 작품 중 일부를 공개했는데요.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는 17세기 플레미시 화가 얀 브뤼헐의 ‘오감’이 있었습니다. 보티첼리의 작품도 있다고 하는데 이번엔 공개되지 않았네요. 그리고 고흐, 모네 등 인상파는 물론 클림트의 풍경화와 최근까지는 데이비드 호크니 작품도 있습니다.
60년 만에 빛 본 고흐 풍경화: 위 사진 속 고흐의 풍경화는 1888년 아를에서 그려진 것인데요. 고흐가 그린 과수원 풍경화 14점 중 5점을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데, 그중 한 점이라고 합니다. 최근 60년 동안 수장고에서 나온 적이 거의 없던 작품입니다.
구스타프 클림트, 자작나무 숲, 1903년, 110.1 x 109.8cm. 사진: 크리스티
조르주 쇠라, 포즈 취하는 여자들 (작은 버전), 1888년, 39.3 x 50cm 사진: 크리스티
○ 가장 비싼 작품은? 단연 세잔
폴 세잔, 세인트 빅투아르 산, 1888~1890년, 65.1 x 81cm. 사진: 크리스티
현대미술을 연 화가, 세잔: 지금까지 공개된 작품 중에서 추정가가 가장 높은 작품은 세잔의 ‘세인트 빅투아르 산’입니다. 물론 경매에 가봐야 실제 가격을 알겠지만, 경매사에서 추정한 가격은 1억2000만 달러(약 1700억 원)네요. 클림트, 쇠라, 고흐 작품보다도 이 작은 그림의 가치가 더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세잔이 ‘현대미술을 연 화가’로 평가받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에 기회가 있다면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가치 100억 달러 컬렉션: 앨런의 소장품이 경매에 나온다는 소식은 8월에 알려졌는데요. 경매사에서는 ‘개인 소장품 중 최고 가치를 지닌 컬렉션’이 될 거라고 평가했고, 그만큼 블록버스터급 작품이 많아서 눈길을 끌고 있는 상황입니다.
○ 억만장자는 왜 예술 작품을 모았을까?
‘정석’ 느낌 물씬 나는 컬렉션: 아무래도 이 컬렉션을 보면 한국인으로서 ‘이건희 컬렉션’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폴 앨런 역시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 MS에 몸담았었고, 앵글로색슨 특유의 사업가 정신을 체화한 사람인 것 같아, ‘한국의 대표적 기업가’ 이건희와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이건희 컬렉션을 보면 물론 개인적인 취향에 의한 컬렉션도 있지만, 미술사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작품들을 정석대로 모았다는 느낌이 저는 들었는데요. 폴 앨런 역시 르네상스 - 인상파 - 미국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돋보입니다. 물론 이런 교과서적인 컬렉션은 자본이라는 총알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긴 하죠. (동시대가 아닌 이미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은 상태에서 작품을 소장해야 하니까요.)
어떻게 컬렉션을 시작했을까?: 1980년대 영국 테이트 미술관을 방문한 앨런은 이곳에서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과 존 에버렛 밀레이의 ‘오필리아’, 클로드 모네의 작품을 접하고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합니다. 또 ‘드림웍스’의 설립자 데이비드 게펜이 수집을 하는 것을 보고 “와, 그림을 집에서 볼 수 있구나”라는 걸 깨닫고 수집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물론…투자 목적도 많았다: 풍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한 정석적인 컬렉션. 사적인 취향이 드러나지 않는 컬렉션을 보면 투자의 목적도 많이 고려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앨런은 마크 로스코나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작품을 구매하고 수년 뒤 두배 넘는 가격에 팔기도 했답니다. 사업가의 특성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죠.
억만장자들은 왜 작품을 모을까?: 문화자본, 후원, 투자, 자산관리 등 여러 이유가 있겠습니다. 최근 미술시장 전문가인 조지나 애덤은 ‘사립 미술관의 끝 없는 성장’이라는 책에서 억만장자들이 작품을 모으고 미술관을 세우는 경향이 ‘아웃사이더’에서 ‘인사이더’가 되기 위한, ‘자수성가형’ 부자들에게 더 두드러진다고 설명합니다. 그 예로 브리타니의 평범한 집안에서 성공한 프랑수아 피노, 그리고 중국의 ‘롱뮤지엄’을 만든 리이취안(택시 운전사에서 사업가로 성공)을 듭니다. 그리고 런던 V&A 미술관의 전신인 월러스 컬렉션을 남긴 19세기 리처드 월러스 역시 ‘서자’ 신분이었다고 지적하는데요. 폴 앨런은 혹시 MS의 ‘그림자’로 남게 되면서 이 많은 컬렉션을 모은 것일까요?🤔
프랜시스 베이컨, 자화상 스터디, 1979년, 36.5 x 30.5 cm(각). 사진: 크리스티
“나치 프로파간다 예술 철거하라!” 바젤리츠의 요구
지난번 소개해드린 안젤름 키퍼, 게르하르트 리히터와 함께 독일 출신으로 현대미술을 이끄는 작가 게오르그 바젤리츠가 독일 언론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10월 4일 바젤리츠가 뮌헨 현대미술관(피나코텍 데어 모데르네)에 공개적으로 편지를 보내 전시 중인 작품을 철거하라고 요구했기 때문인데요. 유럽에서 손꼽히는 큰 컬렉션을 가진 뮌헨 현대미술관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아돌프 지글러, 제4원소, 1937년
○ 히틀러가 사랑했던 작품이 버젓이 미술관에
히틀러의 사랑을 받았던 작품: 그리고 그런 히틀러의 취향에 딱 맞는 그림이 바로 위에서 볼 수 있는 아돌프 지글러의 ‘제4원소’였습니다. 이 그림을 구매해 자신의 집무실에 걸기까지 했던 히틀러는, 지글러를 고위직에 앉혀 퇴폐 미술을 탄압하는 일까지 맡겼죠. 그런데 이 작품이 뮌헨 현대미술관의 소장품 전에 최근 전시되기 시작했습니다.
바젤리츠 “나치 프로파간다 예술이 전시되다니 끔찍” : 바젤리츠는 미술관에 보낸 편지에서 “예술적으로 뛰어나지도 않은, 나치 프로파간다 예술이 전시될 수 있다니 끔찍하다”라며 공개적으로 비판했습니다. 동독 출신으로 7살 때까지 나치를 경험했던 그는 거꾸로 뒤집힌 그림에 현대사를 비유하며 세계적 작가 반열에 올랐습니다.
히틀러의 집무실 속 지글러의 작품
○ 고민에 빠진 미술관
나치 예술에 대해 열린 대화를 이끌고자 했다: 미술관 큐레이터는 다시 언론을 통해 공개한 서한에서 “전시에 대한 비판은 환영한다”라는 것을 전제로, 나치 예술을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열린 대화를 끌어내고자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독일 문화부 장관은 “훌륭한 예술가인 바젤리츠가 발언한 것의 무게감을 느낀다”라며 미술관과 소통을 연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저는 이 대목에서 좋은 예술을 선보인 예술가의 권위를 인정하면서, 갈등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로 이어가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민감해지는 문제, 검열: 예술에서도 최근 이런 ‘검열’의 문제가 해결이 쉽지 않은 이슈로 떠오르고 있긴 합니다. 이를테면 과거 시대 작가들의 여성 문제를 비판하며 전시 자체를 반대하는 일도 있고요, 비리를 저지른 사업가로부터 후원받지 말라는 요구를 미술관이 받기도 합니다. 다만 나치 예술을 인정하고 미술관에 전시하는 것은 ‘선을 넘었다’라고 볼 수 있을 법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미술관은 ‘만약 우리의 시도가 적절하지 못했다면 작품을 철거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영감 한 스푼’은 국내 미술관 전시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창의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계 전반의 소식을 소개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아래 링크로 구독 신청을 하시면 매주 금요일 아침 7시에 뉴스레터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영감 한 스푼 뉴스레터 구독 신청 링크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51199
김민기자 kimm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