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뗏목 타고 한반도 한바퀴… 무심한 강물엔 어린 임금의 눈물 한방울[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입력 | 2022-10-08 03:00:00

강이 있는 풍경 강원 영월
마포까지 금강송 나르던 서강
짜릿한 급류의 맛 살려주는 동강
육지의 섬인 단종 유배지 청령포



강원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에는 서강이 휘돌아가면서 만들어낸 한반도 모양의 지형이 있다. 동쪽에 태백산맥처럼 울창한 숲이 있고, 서해안과 남해안은 낮은 동고서저형 지형까지 닮았다. 사진 왼쪽 강물 위에 한반도 지형을 한 바퀴 도는 관광용 뗏목이 떠 있다.


강원도의 깊은 산골 영월에서는 동강과 서강이 태극 모양으로 굽이굽이 흐른다. 깊은 곳에선 천천히 흐르고, 얕은 곳에서는 ‘콸콸콸’ 소리를 내는 급류가 된다. 강에 둘러싸인 섬 같은 육지는 천혜의 감옥이 되고, 때로는 한반도 모양을 닮은 지도가 된다. 영월의 강은 예전엔 궁궐을 짓는 금강송을 한강까지 싣고 가는 뗏목의 출발점이었고, 요즘엔 ‘리버버깅(River Bugging)’으로 불리는 급류타기 레포츠의 명소로 인기다.》

○ 새처럼 한반도 위를 날다


남한강 상류인 영월의 동강과 서강은 영월읍을 중심으로 각각 동쪽과 서쪽으로 흐른다.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에 있는 선암마을 앞에는 한반도 전체를 옮겨놓은 듯한 모양의 지형이 펼쳐져 있다. 이 마을에서는 뗏목을 타고 한반도 동해안과 남해안, 서해안을 한 바퀴 돌 수 있다. 약 1km 구간의 뱃길에선 삿갓을 쓰고 흰옷을 입은 떼꾼 복장의 어르신 가이드가 구수한 입담을 뽐낸다.

“여기가 바로 강원도 주문진항입니다. 저 옆에 물 위에 솟은 바위 보이시죠? 울릉도, 독도예요. 이제 물살을 가르고 남해로 갑니다. 저쪽을 보세요. 강변에 자갈이 많죠? 그래서 거기가 바로 부산 자갈치시장입니다(웃음). 앞쪽 산 위에 전망대가 제주도 성산일출봉이에요. 이제 서해로 갑니다. 종착지인 인천 소래포구에 도착했네요.”

한반도 닮은꼴 지형을 한 바퀴 도는 뗏목도 휴전선 넘어 북쪽으로 향할 수는 없었다. 공교롭게도 이곳부터는 바닥이 얕아지고 급류가 형성돼 있어 안전상 더 이상 나갈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영월 사람들은 뗏목을 띄워 한양까지 아름드리 금강송을 실어 날랐다. 아우라지에서 떠내려 보낸 뗏목은 이곳에서 크게 묶었다. 뗏목은 지름 약 30cm의 소나무 150여 개를 새끼줄로 묶어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뗏목의 길이는 약 36m에 이르며, 폭은 3m 정도 되었다고 한다. 뗏목은 나무를 좌우로 젓는 ‘노’와 긴 막대기를 강물 바닥까지 찔러 밀어서 움직이는 ‘삿대’를 이용해 앞으로 나아간다.

영월 한반도 지형을 한바퀴 도는 뗏목 체험. 

“뗏목에 실린 금강송은 남한강 뱃길 따라 송파나루를 거쳐 마포나루까지 빠르면 20일, 늦으면 한 달 걸려 도착합니다. 떼꾼들은 서울 마포에서 금강송을 팔고, 돈을 받아 강원도까지 걸어서 돌아오곤 했죠. 영월에서 실어 날랐던 금강송은 경복궁, 덕수궁, 숭례문, 흥인지문(동대문)의 기둥과 대들보가 됐죠.”

배를 타고 한반도를 한 바퀴 돌았다면, 이번에는 산 위에서 내려다볼 차례다. 주차장에서 산길을 오른 지 약 20분. 가이드가 ‘제주 성산일출봉’이라고 설명한 전망대에 도착하니 노을빛이 비친 강물 위에 한반도가 떠 있다. 모양만 닮은 게 아니라 ‘동고서저(東高西低)’ 지형까지 닮았다. 동쪽에는 태백산맥처럼 숲이 우거져 있고, 서쪽엔 낮고 평평한 풀밭과 모래사장이 형성돼 있는 것이 영락없는 한반도다. 전망대에서 촬영용 드론을 띄웠다. 북한 지역은 갈 수 없었던 뗏목과 달리 드론은 남해안에서 휴전선을 넘어 북쪽까지 한달음에 날아간다. 동해 울릉도에서 인천 소래포구까지 자유롭게 선회하는 드론을 보고 있자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내가 한 마리 새가 된 듯 한반도 위를 날고 있구나. 이것은 꿈인가. 현실인가.
○동강 급류에서 즐기는 리버버깅


영월 동강을 즐기는 또 하나의 방법은 리버버깅이다. U자 모양의 고무튜브 장비를 이용해 급류를 즐기는 1인 수상 레포츠다. 단체로 뗏목에 타서 노를 젓는 ‘래프팅’과 달리 ‘리버버깅’은 혼자서 물보라 치는 급류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더욱 짜릿함을 맛볼 수 있다.

1997년 뉴질랜드에서 시작된 리버버깅은 리버(river)와 버그(bug)가 합쳐진 단어로, 장비를 등에 메고 이동하는 모습이 마치 벌레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U자형 장비는 무게가 7kg에 불과해 여성도 어깨에 짊어지고 이동할 수 있다. ‘동강 리버버깅’은 영월군 김삿갓면 각동수련장에서 출발한다. 2시간에 걸쳐 급류를 타다보면 4km 떨어진 단양까지 흘러간다. 수련장 앞 강변에서 먼저 약 20분간 안전교육이 이뤄졌다. 특히 급류에 기구가 뒤집혔을 때 다시 올라타는 법을 실습하는 게 필수. 튜브처럼 생긴 기구는 어린이나 여성도 쉽게 올라탈 수 있었다.

동강에서 급류를 타는 1인 수상 레포츠 리버버깅. 

드디어 출발! 첫 번째 급류에서 긴장을 한 탓인지 균형 잡기가 쉽지 않다. 두 번째 급류는 한층 물살이 세져 롤러코스터를 탄 듯 위아래로 요동을 친다. 마지막 세 번째 급류 코스는 앞이 안 보일 정도로 하얀색 물보라가 온몸을 때린다. 심장이 쫄깃쫄깃, 짜릿한 기분에 환호성과 비명이 교차한다. 드디어 도착 지점. 강물이 잔잔해지자 구명조끼를 입고 동강 물에 풍덩 뛰어든다. 물 위에 누워 하늘을 보며 천천히 흘러간다. 동강의 절경을 눈과 마음에 담는다.

리버버깅은 체온과 피부 보호를 위해 5mm 슈트를 입기 때문에 5월부터 10월 말까지 동강의 수려한 자연을 감상하며 즐길 수 있다. 카약은 노를 젓지만, 리버버깅은 손과 발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고 방향 전환을 한다. 이 때문에 물갈퀴가 달린 장갑과 핀(오리발), 구명조끼와 헬멧까지 완벽하게 장비를 갖춰 입는 게 필수다.

‘동강 리버버깅’을 운영하고 있는 박철희, 박주희 부부는 “뉴질랜드에서 리버버깅을 해보고 매력에 푹 빠져 10여 년 전 영월로 귀촌했다”고 말했다. 처음엔 리버버그 2대로 시작했으나 점차 입소문이 나고, 지역 청년들을 리버버깅 가이드로 합류시키면서 영월은 리버버깅의 메카가 됐다. 부부는 영월 청년들과 함께 협동조합을 설립했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추진한 ‘2022년 관광두레 스토리텔링 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요즘 문화도시 영월군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고향사랑 기부제다. 고향사랑 기부제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관계 인구’가 고향에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세액 공제와 함께 지역 특산품을 답례로 제공한다. 10만 원을 기부하면 최대 13만 원의 혜택이 돌아오는 셈이다.
○단종을 위로한 청령포의 소나무

단종이 묻힌 장릉. 

삼면이 강물과 절벽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감옥 같은 청령포.

영월 서강에는 단종이 유배됐던 청령포가 있다. 청령포는 서강(西江)이 삼면을 에워싸고 흐르고, 남쪽은 층암절벽이어서 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섬 같은 곳이다. 단종은 노를 젓는 나룻배를 타고 들어갔겠지만 지금은 모터가 달린 보트가 운행돼 불과 1, 2분 만에 강을 건넌다. 배에서 내리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발밑의 자갈들이다. 휘청휘청 자갈길을 걸으며 단종의 황망했던 심정을 느껴 본다. 숲속으로 들어가니 하늘로 치솟은 키 큰 소나무들이 그늘을 만들어낸다. 한 그루 소나무가 담장을 넘어 단종이 살던 어소를 향해 구부러져 자라는데, 임금께 예를 표하고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충절송’이라고 불린다.

영월 청령포로 유배됐던 단종이 갈라진 가지 위에 앉아 쉬었다는 관음송.

어소 뒤편에는 키 큰 관음송이 있다. 육지의 섬에 갇혀 홀로 지내던 소년 임금에게 친구가 되어주고 위로해준 나무다. 관음송은 땅 위 1.2m 지점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단종이 그곳에 앉아 있곤 했다고 한다. 1457년 단종의 비극적인 죽음까지 지켜봤던 이 나무의 나이는 최소 600년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맛집

단종이 즐겨 먹었다는 어수리나물밥과 어수리장국.

영월에 유배 온 단종은 백성들이 올린 어수리나물을 맛보고 한양에 두고 온 아내 ‘정순왕후의 분향이 난다’고 하며 즐겨 먹었다고 한다. 3∼5월에 채취되는 어수리나물은 특유의 향과 맛, 식감을 맛볼 수 있는 봄나물이다. 영월 읍내에 있는 박가네 식당에서는 어수리나물밥과 어수리장국, 어수리전 등 다양한 어수리나물 요리를 맛볼 수 있다.




글·사진 영월=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