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서리 이마에 차다
무릎 덮는 낙엽길
구름 비낀 새벽달만 높아라
가을 별빛 받아 책을 읽는다
단풍잎 하나
빈 숲에 기러기로 난다
―이희숙(1943∼)
열일곱 번째 절기, 한로(寒露)가 찾아왔다. 이 바쁜 세상에서 누가 절기를 기억할까. 한로는 분명히 존재하면서도 점점 잊혀지고 있는 이름이다. 세상에 그런 단어가 한로뿐만이 아니다. 내가 잊어가는 이름이 숱하게 많고, 내 이름도 잊혀지는 숱한 이름 중 하나다. 그런 생각을 하면 ‘한로’라는, 쓸쓸하고도 맑으며 고고한 단어를 쉽게 지나칠 수 없다.
한로에 딱 맞춰 읽기에는 오늘의 시가 제격이다. 이 시의 부제가 바로 한로이다. 여기에는 새벽녘에 깨어 있는 한 사람이 나온다. 새벽은 ‘차가운 이슬’이라는 뜻의 한로에 어울리는 시간대다. 춥고 맑은 한로를 몸으로 느낀 시인은 먼 데로 시선을 돌린다. 시의 쌀쌀하고 고즈넉한 분위기가 가을의 운치 그대로다.
나민애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