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지난해 제주에서 생활할 때 모 교수에게 전화를 받았다. 횟집에서 다금바리 회를 먹고 있는데 ‘서울에서 먹는 건 진짜 다금바리인가 아닌가’라는 논쟁이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아서 전화했단다. 전화상으로 판별할 방법이 없으니 다음에 초대하면 상세히 알려주겠다며 마무리한 일이 있다.
횟집에 갈 때마다 활어의 신선도와 수족관 청결 상태 등을 확인한 후에 횟집을 선택한다. 제주도에서 포장 회를 사기 위해 시장을 방문했는데 수족관은 구문쟁이로 가득한데 직원은 다금바리를 싸게 판매한다며 호객행위를 하고 있었다. 수족관에 있는 물고기는 구문쟁이라고 말했더니, 직원은 다금바리라며 극구 부인했다. 확신에 찬 모습이 다금바리와 구문쟁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듯해서 설명하기를 포기하고 다른 횟집으로 발걸음을 옮긴 적이 있다. 수산물 판매 상인과 어부들도 유사하게 생긴 물고기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으나 수족관에 구문쟁이만 있음에도 차림표에 다금바리로 돼 있으면 정황상 속여 파는 것으로 의심할 수 있다.
제주도에서 다금바리라 불리는 물고기의 표준명은 자바리이고, 구문쟁이라 부르는 물고기는 능성어다. 실제 다금바리는 따로 있는데 남해안 어민들은 농어처럼 생겼다고 하여 펄농어라 한다. 다금바리(자바리)는 불규칙적인 줄무늬가 이마까지 이어져 있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해 있다(삽화 아래쪽). 반면 구문쟁이(능성어)는 몸통 줄무늬가 규칙적이고 이마가 민무늬이며 위턱과 아래턱 길이가 일치한다(삽화 위쪽). 언뜻 보면 유사하게 생겼고, 60cm 이상 자라면 줄무늬가 옅어져서 유심히 보지 않으면 헷갈리기 쉽다.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