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어느날 갑자기, 죽을 것 같은 극도의 공포감…공황장애

입력 | 2022-10-14 15:04:00


언제부턴가 ‘공황장애’라는 말을 쉽게 듣게 됐다. 활발하게 방송 활동을 하던 유명인이 어느날 갑자기 공황장애로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모두 22만1131명으로 하루 평균 600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14만4943명에서 4년 동안 52.6% 늘었다.

◆극심하고 반복되는 ‘공황발작’…증상 나타나면 안정 취해야

공황장애란 갑자기 극도의 두려움이나 불안을 느끼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다. 환자들은 심한 불안과 초조감, 죽을 것 같은 공포와 함께 가슴 뜀, 호흡곤란, 흉통이나 가슴 답답함, 어지러움, 손발 저림, 열감 등 다양한 신체 증상을 경험한다.

원인은 다양하다. 유전적,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이 모두 작용해 발병할 수 있다. 특히 불안 민감도가 높거나 성장하며 반복되는 외상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공황장애를 앓을 확률이 높다. 또 대다수의 공황장애 환자들은 발병 전 업무나 대인관계 등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허휴정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교감신경계는 우리가 긴장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데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교감신경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된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면서 “이럴 때 긴장하면 나타나는 몸의 반응이 순식간에 극심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중 하나가 ‘공황발작’”이라고 설명했다.

공황장애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자주 반복되는 공황발작이다. 공황발작은 죽을 것 같은 극도의 공포감과 함께 교감신경계 항진으로 인한 자율신경계 증상, 가령 맥박이 빨라지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숨을 쉬지 못할 것 같은 느낌, 식은땀,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난다.

심한 공황발작을 경험한 이후에는 다시 이러한 발작이 나타나지는 않을까 두려워하거나 불안한 마음이 생기게 된다. 이 ‘예기불안’으로 인해 지하철, 엘리베이터, 비행기나 사람이 많은 쇼핑몰 등 공황발작이 일어날 것 같은 장소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피하게 된다.

갑작스럽게 공황발작이 나타나면 누구나 두려울 수 있다. 다행히 공황발작은 몸 안에서 나타나는 극도의 긴장 증상으로 심장이나 폐의 문제는 아니다. 죽을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고통스럽지만, 실제 죽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온다고 해서 그때마다 응급실을 찾는 것은 좋은 대처라고 보기 어렵다.

보통 극심한 공황발작은 20~30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앉거나 누워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만약 그대로 견디기가 어렵다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비상시 복용할 수 있는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도록 한다.

◆6개월 이상 약물 유지, 음주 삼가…스트레스 관리 중요

공황장애 진단을 받게 되면 보통 SSRI(선택적세로토닌재흡수차단제)처럼 불안, 우울 등의 정서적인 상태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을 조절해주는 약제나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항불안제를 흔히 처방받을 수 있다. 이 외에 환자들의 특성이나 필요에 따라 다른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대개 한달 이내에 전반적인 증상이 호전된다. 하지만 증상의 조절과 재발 방지를 위해 통상적으로 6개월 이상 장기간 약물을 유지해야 한다.

허휴정 교수는 “증상이 나타날 때만 즉각적으로 효과가 있는 신경안정제를 골라 복용하는 환자들이 많다”면서 “힘들 때마다 약을 찾으려는 습관이 굳어지면 오히려 약물에 대한 심리적, 신체적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복용하라”며 “증상이 호전되면 주치의와 상의해 점진적으로 약을 줄여나가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술과 정신과 약물은 함께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술과 함께 약물을 복용하면 자칫 정신과 약물의 진정 작용이 평소보다 과도해져 크게 넘어지거나 다치는 등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약물치료 외에 인지행동치료도 있다. 환자들이 공황발작과 관련된 극심한 불안과 공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지적, 행동적 전략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불안과 관련된 부적응적인 생각을 적응적인 생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고, 행동적으로는 호흡훈련, 근육이완훈련 등을 통해 불안 관련 신체 증상을 스스로 다뤄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 공황발작으로 인해 두려워했던 상황이나 장소에 점진적으로 부딪쳐나가며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공황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틈틈이 긴장된 몸의 근육을 이환시킬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허 교수는 “매일 가벼운 산책이나 스트레칭 등 선호하는 운동을 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 된다”며 “평소 명상 등을 통해 현재 내 몸과 마음에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차분히 관찰하는 힘을 기르면 훨씬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인천=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