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에게 제공되는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결과지 예시. 1~4수준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지만, 기초학력 미달, 기초학력, 보통학력, 우수학력이라는 수준 별 지표가 제공되지 않는다.(제공=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학생·학부모가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결과지를 받더라도 학생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기가 어려워 자율평가가 오히려 학생과 학부모에게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뉴스1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으로부터 입수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결과’ 예시를 보면 자율평가 결과지에는 학생의 점수나 등수 대신 학생 개인의 성취 수준(1~4수준), 교과 영역별 성취율이 제공되는데, 이를 해석할 수 있는 지표가 따로 제공되지 않아 결과지를 받더라도 학생·학부모가 이를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결과지에는 학생의 성취 수준이 제공된다. 하지만 각각의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지표는 제시되지 않는다. 현재 시행 중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도 1~4수준만 표시될 뿐 우수학력(4수준), 보통학력(3수준), 기초학력(2수준), 기초학력 미달(1수준)이라는 지표가 제공되지 않는다.
교과 영역별 성취율도 마찬가지다. 영역별 성취율 수준은 10개 칸의 그래프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A학생이 국어 ‘읽기’ 영역에서 4개 칸을 얻었다고 해도 읽기 영역이 ‘기초학력 미달’인지, ‘기초학력’인지 지표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재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정책본부장은 뉴스1과 통화에서 “기초학력 보장법을 통해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선정해야 하는데 관련 지표가 불투명하다면 학생과 학부모들이 동의하겠는가”라며 “서열화는 안 되지만 학생과 학부모, 담임교사가 학생의 정확한 수준을 판단할 수 있어야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 본부장은 “교육부와 교육과정평가원이 앞으로 보완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결과지만으로 보충학습 등이 필요한 학생을 선정하기는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도 뉴스1과 통화에서 “자율평가의 목적이 기초학력 미달자를 선정하기 위해서인데 이런 수준이라면 정보로서의 가치가 없다”며 “그래프만 나열하고, 이를 해설할 수 있는 지표나 정보가 없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교육과정평가원 관계자는 “시도에 따라서는 시험이나 평가 자체를 하지 않는 시도가 있어 학업성취도 평가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19년까지는 1수준의 경우 ‘기초학력 미달’ 등 수준별 평가 결과가 통보됐지만, 2020년부터는 1~4수준만 통보하고 있다”며 “이 평가는 자율평가를 신청한 교과 교사가 학생의 수준을 판단하고 학생별로 지원할 부분을 파악하도록 도움을 주는 평가”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