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일본 엔화가 미 달러에 대해 하락세를 이어가 한때 달러당 환율이 149엔대 선까지 상승(엔화 약세, 달러 강세), 심리적 마지노선인 150엔에 가까워졌다. 지난 14일에도 148.86엔을 돌파해 199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엔화가 끝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과 NHK 등에 따르면 이날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장중 달러당 149.08엔까지 치솟았다.
교도통신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근 미국 경제가 매우 견고하며 달러 강세 현상을 우려하지 않는다고 발언한 것이 투자자들의 달러 매수 움직임을 강화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미 노동통계국이 지난 14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비로 8.2% 상승, 시장 전망치(8.1%)을 상회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기준금리를 이미 3연속 0.75%p 올렸는데도 물가가 잡히지 않으며, 연준이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금리 인상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 미·일 금리차를 의식한 달러 매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노무라 애널리스트(분석가)는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가 달러당 환율이 150엔에 도달하기 전에 또 다른 개입을 실시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며 “시장을 움직이는 촉매 중 하나는 금요일 발표될 일본의 인플레이션 데이터일 수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전했다.
ING의 애널리스트들은 “달러당 환율이 150엔 이상으로 치솟을 경우 일본이 피하려고 하는 바로 그 엔화 매도를 가속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심리적 마지노선인 ‘달러당 150엔’이 깨질 경우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수준의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위안화도 지난달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포치’(破七·달러당 7위안)가 깨졌고, 이후에도 상승세를 지속하며 달러당 7.5위안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전 수석 통화 전략가인 짐 오닐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엔화가 달러당 150엔와 같은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1997년 같은 아시아 외환위기의 혼란이 올 수 있다”며 “자본이 아시아에서 대거 이탈하는 트리거(방아쇠)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엔저 현상의 근본 원인으로 꼽히는 미·일 금리차는 당분간 좁혀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일본은행은 지난달 22일 2조8400억엔(약 27조8643억원)을 투입해 달러를 매도하고 엔화를 매입하는 시장 개입에 나섰지만, 엔저 현상에는 제동이 걸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혀 엔저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올해 초 달러당 110엔대였던 엔·달러 환율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계속 상승했다. 지난달 2일에는 24년 만에 140엔대까지 치솟았고, 지난 12일에는 달러당 146엔, 이튿날인 지난 13일에는 달러당 147엔 후반까지 올랐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