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의 핵무기를 용인할 수 없다는 자국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한 “비확산 체제” 유지를 강조함으로써 국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전술핵 재배치 등 핵무장론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간접적으로 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블링컨 장관은 17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전 장관과의 대담에서 “핵을 북한처럼 골치아픈 정권들의 손에 쥐어주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블링컨 장관은 비확산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방어와 억제 등 유엔 차원에서 다양한 조치를 취했으나, 이는 아직도 진행 중인 문제”라며 “바로 광범위한 확산에 대한 우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러한 (국제) 규범과 규칙, 우리의 참여가 필요한 표준을 강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북핵 문제가 과거 모든 미국 행정부에 도전이었다면서 “지난 몇 년 동안 분명히 나아지지 않았다”며 지난날의 실패를 인정하기도 했다.
그는 최근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지속하는 배경과 관련해 “북한 지도자의 관점에서는 무시당하기가 싫을 것”이라며 “세상이 다른 곳에 집중할 때 ‘우리는 아직 여기 있다. 우리는 여전히 문제이기 때문에 당신들은 우리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고 상기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한미일 간의 군사 협력 또한 북한을 자극했음을 언급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 수개월간 우리는 이 지역의 동맹 및 파트너인 한국, 일본과 양자 및 다자간의 작업을 상당량 늘렸다”며 “예를 들면 수년간 있던 훈련을 새롭게 했고, 어떤 종류의 침략이라도 방어하고 억지하기 위해 그들(한일)을 군사훈련으로 되돌아오게 했다”고 말했다.
이날 블링컨 장관의 발언은 제프리 루이스 미들베리 국제연구소 교수가 지난 13일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에서 북한의 핵 보유국 인정을 주장한 가운데 나왔다.
루이스 교수는 해당 기고문에서 지난 30년간 북핵 문제를 해결하려는 미국의 노력이 설득력이 없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면서, 과거 미국이 이스라엘과 인도, 파키스탄의 핵 보유를 묵인했던 것처럼 북한의 핵무기도 받아들이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