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6일 오전 울산 태화강에 홍수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울산교 하부도로와 인근 주차장이 물에 잠겨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뉴스1
나랏돈 100억원을 들여 만든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접속자가 6만명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홍수가 반지하 비극으로 이어지면서 재난 불평등이 증명된 만큼, 홍수위험지도 등 재해지도를 활성화하고 일반에 더 많이 노출 시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관련 자료를 보면, 2021년 홍수위험지도가 일반에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총접속자 수는 5만8849명에 불과했다.
홍수위험지도는 환경부에서 지난 2001년 기본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0억여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만들고 있다. 지난 2021년부터는 홍수위험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피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수위험지도를 인터넷과 모바일의 홍수정보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다.
폭우 이후 기능호출건수도 평소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호출건수는 접속자가 시스템 안의 기능을 클릭하거나 이용할 때 집계된다. 기능호출건수는 올해 8월에만 1392만9646건으로 월별 기준으로 이전보다 10배가량 급증했다. 일 평균 또한 6월과 7월에는 각각 4만6000여건과 3만2000여건에 불과했지만 8월에만 44만9343건으로 10배 이상 폭증했다.
이에 비해 행정안전부가 재난, 치안, 교통, 보건 등 사고 이력, 안전시설 등을 지도형태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의 경우 홍수위험지도와 비교해 동기간 70만9574명이 접속해 10배 이상 많은 접속자 수를 보였다. 환경부에 따르면 홍수위험지도는 올해 9월3일이 되어서야 생활안전지도 시스템상에서도 볼 수 있도록 연계 서비스를 시작했다.
우원식 의원은 “올해 8월의 기록적인 강우와 힌남노 등 홍수피해는 미리 대처하지 못해 생긴 사고가 많아 재난 불평등으로 평가받는다”면서 “접속자 수가 많은 생활안전지도와 연계해 홍수위험지도의 노출량을 늘릴 방법이 이미 있었음에도 수해 이후에야 가능하게 된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세종=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