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초 만에 초탄 발사 가능… 美 하이마스 압도하는 명품 다연장로켓
한화디펜스의 K239 천무 다연장로켓 시스템. [뉴시스]
냉전 후 포병 전력 대폭 줄인 나토 회원국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들도 각각 수백 문에 달하던 자주포를 두 자릿수까지 줄였다. 한때 유럽 최대 포병 보유국이던 독일은 이제 자주포 94문과 다연장로켓 38문만 갖고 있다. 한국의 군단 예하 포병여단 정도 규모다. 프랑스 역시 자주포와 견인포를 모두 합쳐 100문이 되지 않는 규모로 포병을 줄였다. 이처럼 포병 전력을 대폭 감축한 것은 다른 유럽 국가도 마찬가지다.
미국 M142 하이마스. [사진 제공·록히드마틴]
우크라이나 정밀 포병의 핵심은 M142 하이마스다. 이름 그대로 고(高)기동 포병 로켓 시스템, 즉 기동성이 매우 우수한 로켓 무기다. 하이마스는 미 육군의 작명처럼 기동성을 최우선시해 개발됐다. 이를 위해 이동식 포병 무기에 설치되는 안정화 장치(outrigger)를 과감히 생략했다. 주행 중 사격 명령이 떨어지면 정차 후 30초 내로 로켓탄을 연사하고 다시 30초 안에 현장을 이탈할 수 있다. 발사기에 아예 전용 크레인을 달아 탄약만 준비되면 재장전에 3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우크라이나는 이런 특성을 이용해 고작 10여 문의 하이마스를 쉴 새 없이 움직여 러시아군의 전방 추진 탄약고와 지휘소를 잇달아 파괴했다. 이 같은 작전이 한 달 넘게 계속되면서 러시아군 포병 전력은 7월부터 서서히 마비되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군에 포병이 제압당한 러시아군은 9월부터 하루 평균 300~500명 전사자와 그 3~4배에 달하는 부상자를 내고 있다. 반면 우크라이나군 사상자 수는 러시아군의 10분의 1도 안 된다. 여름부터 병력 피해가 크게 줄어든 우크라이나는 가을 정기 징집을 취소할 정도로 여유만만한 상황이다.
재블린 이은 하이마스 열풍
우크라이나인은 하이마스를 ‘세인트(saint·聖) 하이마스’로 상찬하거나, 아예 러시아군을 격퇴하는 데 특화된 무기라는 뜻에서 ‘고기동 대러시아 시스템(High Mobility Anti Russian System)’이라 부르기도 한다. 개전 초 활약한 ‘세인트 재블린’ 미사일에 주목한 여러 나라의 주문으로 제조업체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하이마스를 두고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져, 제조사인 록히드마틴이 쇄도하는 주문을 감당하지 못할 지경이다. 당장 미 육군과 해병대가 추가 발주에 나섰고, 유럽 각국도 주문을 넣고 있다. 나토 최일선 국가 폴란드는 무려 500문을 사겠다고 나섰다.
폴란드가 내건 구매 조건은 무엇일까. 하이마스 원형(原形)은 미국 ‘오시코시’의 FMTV 중형전술트럭에 6연장 227㎜ 로켓 발사기를 얹은 것이다. 폴란드는 그 대신 자국 기업 ‘젤츠’가 생산한 중형전술트럭 차체에 하이마스의 로켓 발사기를 얹고, 사격통제장치는 자국산 토파즈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방식의 현지 기술도입 생산을 요구하고 있다. 발사기보다 거래 규모가 큰 탄약도 폴란드 현지에서 기술도입 생산으로 조달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미국으로선 가뜩이나 독일이 폴란드의 군비 증강을 불편해하는데, 부품 값과 로열티 정도만 챙길 수 있는 계약에 적극적일 이유가 없다. 미국이 하이마스 대량 수출 승인을 계속 미루자 폴란드는 곧바로 ‘플랜 B’를 발표했다. 한국으로부터 K239 천무 다연장로켓 시스템을 300문 도입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기동성 키우느라 화력 약한 하이마스
폴란드는 초기 일부 물량을 제외한 천무 대부분을 기술도입 형태로 생산할 예정이다. 차량은 젤츠의 8×8 중형전술트럭으로 하고, 사격통제시스템도 폴란드의 토파즈 시스템을 천무에 맞게끔 개량해 적용한다. 제식명은 ‘WR-300 호마르(Homar)’로 알려졌다. 폴란드 정부는 일단 천무 구매와는 별개로 미국산 하이마스 500문 도입 계획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천무 도입이 본격화되면 하이마스 도입은 백지화되거나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폴란드 입장에선 하이마스보다 천무가 전장 환경에 더 부합하는 무기체계이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이마스는 기동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 무기다. 수송기 탑재를 고려해 중량과 발사기 수를 제한하다 보니 기동성은 뛰어나지만 화력 지속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폴란드는 미국과 달리 하이마스를 수송기에 실어 장거리 원정을 보낼 일이 없다. 국토 대부분이 평야인 폴란드는 예부터 유럽 교통 요충지로서 도로가 발달했다. 따라서 같은 차륜형 다연장로켓 시스템이라면 화력이 우수한 쪽이 더 매력적이다.
국산 전술지대지 유도무기(KTSSM) 발사 모습. [사진 제공·국방과학연구소]
동유럽 국가들 천무 도입 가능성 높아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10월 14일(현지 시간)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한화디펜스의 다연장로켓 천무 약 300문을 도입하기 위한 기본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GETTYIMAGES]
천무는 성능·가격·범용성 면에서 하이마스를 압도하는 경쟁력을 갖췄다. 미국처럼 C-130급 중형 수송기를 이용해 장거리 원정 작전을 펴야 하는 나라가 아니라면 최적의 선택지다. 당장 한국군이 천무 367문을 도입 중이고 아랍에미리트(UAE)도 수십 문을 운용하고 있다. 폴란드가 대량 도입을 천명하면서 천무는 이제 하이마스 못지않은 ‘규모 경제’를 확보할 전망이다. 획득은 물론 운용, 유지 측면에서도 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일단 폴란드 현지에서 기술도입 생산을 시작하면 옛 소련의 다연장로켓 무기를 운용하는 동유럽 국가들도 천무에 큰 관심을 보일 것이다. 이미 K9 자주포 돌풍이 불고 있는 유럽 포병무기 시장에 천무가 쐐기타를 날릴지 기대해본다.
《이 기사는 주간동아 1361호에 실렸습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