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의 가격 상한제에 합의한 가운데, 러시아의 보복 여부에 따라 국제유가가 큰 폭의 등락을 보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3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러시아 원유 가격상한제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최근 상한제 가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미국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는 상황이나 시장에서는 러시아의 정치적 유인에 따른 감산 가능성에 대해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G7은 러시아의 원유판매 수입이 우크라이나 전쟁 재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글로벌 원유공급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러시아산(産) 원유 가격상한제 도입을 발표했다.
한편 G7와 EU의 가격상한제 도입 발표 직후 러시아는 원유감산 및 가격상한제 참여국에 대해 원유수출을 금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발표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시장에서는 이 조치 실행 이후 전개 방향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미국 등 G7은 최근 유럽 가스공급 중단으로 러시아의 에너지 매출이 줄어든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도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러시아가 원유생산을 포기하기 어려워 가격상한제를 수용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러시아 정부예산의 상당 부분이 에너지 수출로 충당되고 있고 최근 전쟁이 장기화되고 천연가스 매출도 감소하는 상황에서 원유수출 중단시 정부재정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러시아의 8월 석유 및 가스 수입은 전월대비 13% 감소해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중국·인도·터키로의 평균 수출량은 4월 이후 200만 배럴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어 한계치에 다다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재 러시아 원유(우랄유)는 이미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가격상한제 도입이 러시아의 큰 반발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9월 기준 우랄유 가격은 배럴당 68 달러로 브렌트유(배럴당 91 달러)보다 23 달러 가량 낮다.
일각의 우려처럼 러시아가 중국, 인도를 통해 가격상한제를 회피하는 경우에도 글로벌 원유공급은 계속 이루어지게 되며 오히려 이들 국가의 가격 협상력이 증대돼 유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 재무부는 가격상한제의 도입이 국제유가 하락을 통해 50여개 신흥국 및 저소득 국가에 연간 1600조 달러 규모의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러시아의 원유 저장용량이 제한돼 있는 데다, 장기간 생산 중단 후 재개시 발생되는 높은 비용으로 생산을 쉽게 줄이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글로벌 원유 수출시장에서의 러시아의 높은 비중(2021년 8.3%)과 최근 불안한 원유공급 상황을 고려할 때 원유시장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대된 상황이다. 특히 최근 러시아, 사우디 등 산유국협의체 OPEC플러스(OPEC+) 회원국 간 긴밀한 관계를 고려할 때 OPEC+와 감산 공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러시아의 영향력은 크게 높아질 우려도 나온다.
러시아가 그간 축적한 막대한 예비기금과 외환보유고 등을 통해 에너지매출 감소를 일정 기간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석유·가스 수입으로 운용되는 예비기금 국부펀드인 국가복지기금(NWF) 잔액은 8월말 현재 11조 9000억 루블(러시아 GDP의 9%)이며 이는 지금까지의 전쟁 비용(10조1320억 루블)과 맞먹는 크기다.
최근 러시아산 원유 상한제 가격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그동안 에너지와 식량을 정치경제적 수단으로 사용해 온 러시아의 행보를 고려할 때 러시아가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감산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강영관 한은 국제종합팀 차장은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의 향방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엇갈리면서 가격상한제는 OPEC+의 추가 감산 여부 및 유럽의 겨울철 날씨 등과 더불어 향후 유가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원유 수출량 감소 등 러시아의 보복 여부에 따라 국제유가가 큰 폭의 등락을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