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전작도록, 생전에 미리 준비를… 작품 기억은 작가가 제일 확실”

입력 | 2022-10-24 03:00:00

미술품 감정 기초로 활용돼 중요
사후 전작도록, 작품 진위 등 논란
예술경영지원센터, 원로작가 30명
디지털 아카이빙 지원 사업 진행




서양화가 서용선(71)은 약 2년 전부터 자신의 회화작업을 스스로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을 품었다. 서울대 미대 교수였던 그는 본격적인 전업 작가로 활동한 2008년부터 각 작품의 도판과 전시이력, 비평 등을 한데 모았다. 올해 7월 출간된 ‘서용선 2008-2011’(연립서가·사진)이 그 결과물. 서 작가는 “‘전작도록’의 중간 단계로 보면 된다”며 “앞으로도 3, 4년 치씩 묶어 책으로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작도록이란 작가의 작품이력과 출품기록을 담은 자료로, 향후 미술품 감정의 기초로 활용돼 중요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작가가 활동을 중단한 뒤, 즉 세상을 떠났을 때 만든다. 하지만 최근 미술계에선 서 작가처럼 생존 작가들이 전작도록을 미리 준비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간 사후 전작도록은 혼란이 빚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작품을 선정하는 데 연구학자마다 의견이 달라 제작에 차질을 빚는 일이 잦았다. 수록작의 진위를 놓고 논란이 생긴 사례도 있다. 서 작가도 “작품에 대한 기억은 1차적으로 작가가 제일 확실한 게 당연하지 않나”라며 “작가가 직접 참여하면 제작도 원활하고 내용도 훨씬 풍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에선 생존 작가의 전작도록 작업이 상당히 보편화된 추세다. 독일의 거장 게르하르트 리히터(90)는 2011년 ‘1962∼1968년 도록’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6권을 내놓았다. 이인범 전 상명대 교수는 “생존 작가의 전작도록은 제작 과정에서 자기 작품에 대한 자가 비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다”며 “작가가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뿌리를 굳건히 만드는 역할도 한다”고 말했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전작도록의 사전 단계라 할 수 있는 ‘원로작가 디지털 아카이빙 자료수집 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2015년부터 이승택(90)과 박서보(91), 김순기(76), 김영원(75) 등 작가 30명을 대상으로 했다. 일반적으로 한 작가당 연구진 3∼6명을 투입해 1, 2년씩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심지언 예술경영지원센터 시각사업본부장은 “작가들이 생전에 연구자들과 작품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정리하면 향후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