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한복판에서 심정지 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했다. 3년 만에 첫 ‘야외 노마스크’ 핼러윈을 맞아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청은 이날 오후 11시13분 이태원에서 압사 추정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대응 3단계로 격상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30일 사고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 사고현장 인근에 어수선한 모습으로 모여있는 시민들의 모습. 2022.10.30 뉴스1
약 300명의 사상자를 낸 이태원 압사 추정 사고가 ‘예견된 참사’라는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 인구 밀집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이동통신사 기지국 정보 활용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1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기지국은 사용자들의 휴대전화와 수시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전화를 하지 않는 ‘대기’ 상태라 하더라도 가까운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정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한꺼번에 ‘재난 문자’를 보낼 수 있는 기지국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특히 기지국 정보를 활용하면 해당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지 ‘혼잡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간 인구 데이터는 주요 지역 기지국에서 5분 동안 수집된 휴대폰 신호 빅데이터를 집계·가공해 현 시점에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인구를 추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같은 데이터는 행정당국에서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 데이터의 경우 KT 이동통신 가입자로 표본이 제한돼있다.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
이 때문에 기지국 접속 정보를 활용했다면 이번과 같은 ‘대형 사고’를 어느 정도 대비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인리히의 법칙’만 보더라도 어떠한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작은 사고와 징후들이 존재하는데 교통정보나 CCTV 뿐 아니라 기지국을 접속 정보를 통한 ‘혼잡도’ 또는 ‘밀집도’는 이같은 여러 징후를 파악할 근거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군중 시뮬레이션 등을 연구하는 마틴 에이머스 영국 잉글랜드 노섬브리아대 교수를 인용해 “위험하게 높은 군중 밀집도를 예측, 감지, 방지하는 적절한 군중 관리 프로세스가 정립되지 않으면 이같은 일은 계속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