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당일 1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음에도 지하철역 무정차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두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서교공)가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사고 전부터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의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으나 서교공이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서교공은 압사 사고 후에야 요청이 있었다는 입장이다.
1일 경찰과 서교공에 따르면 서울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은 지난달 29일 사고 발생 37분 전인 오후 9시38분께 이태원역장과 전화통화를 했다.
수많은 인파 탓에 구조작업도 원활치 않았다는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사전에 지하철역 무정차 조치가 이뤄졌다면 혼란을 줄일 수 있었지 않았겠냐는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해 경찰과 서교공은 진실공방을 벌이며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고 있는 모양새다.
서울경찰청은 전날 “용산경찰서는 지난달 26일 열린 관계기관 간담회 시 서울교통공사 관계자에게 다중인파 운집시 이태원역 무정차통과를 적극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며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그간 핼러윈 때 이태원역을 무정차 운행한 사례는 없으나 필요시 현장에서 판단해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고 당일 현장에 있던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이 오후 9시38분께 전화상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으나,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승하차 인원이 예년과 차이가 없다며 정상 운영한 사실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당일날은 역 유선전화로 오후 11시11분에 정식 요청이 왔다. 우리 역장이 파출소장한테 내부 승객이 많으니 외부에서 좀 통제해달라고 먼저 요청했고 그쪽에서 알겠다고 답변했다”며 “오후 9시38분에는 ‘역사 내 혼잡하니 외부 출구를 막아달라’ 이것이었다”고 했다.
이에 경찰은 다시 “사실과 다르다. 오후 9시38분께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112실장에게 전화를 했으나 끊어지고, 112실장이 즉시 역발신해 1분17초간 통화해 무정차 요청을 했다”며 휴대전화 발신 목록을 공개했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통화를 했지만 무정차 요청은 하지 않았다. 당시 역장이 외부에 나가보니 외부에서도 역내 진입 통제를 하지 않고 있었다. 무정차 요청을 했으면 외부에서부터 통제를 했어야 하지 않느냐”고 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 진행된 정부 합동브리핑에서 다시 한번 사고 발생 37분 전 무정차 요청을 했다고 주장했다. 황창선 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은 “경찰은 사건 발생 전인 오후 9시38분과 발생 직후인 오후 11시11분, 총 두 차례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양측이 다른 주장을 펴면서 책임소재는 명확히 가려지지 않았고, 대책 논의 역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고 당일 핼러윈을 앞둔 주말 1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이태원 일대를 방문했다.
1일 기준 이태원 사고의 인명 피해는 부상자 중 2명 사망하면서 사망자 156명(남성 55명, 여성 101명)으로 늘어났다. 당국은 중상자가 남아있는 만큼 앞으로 사망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하고 있지 않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