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학생 수 감소로 3년 뒤엔 초등학교 4곳 중 1곳이 휴교 혹은 통폐합 위기에 놓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미 초등 3개교 중 1개교는 ‘소규모 학교’에 해당하는데, 소규모를 넘어 소멸 위기가 가속화된다는 지적이다.
1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에 따르면, 국책 연구기관인 KEDI는 이 같은 내용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소규모학교 지원체제 구축 및 운영 방안’ 보고서를 브리프(Brief) 형태로 지난달 31일 발간했다.
그 결과, 3년 뒤엔 전국 초등학교 6293개교 중 26.3%에 해당하는 1657개교가 ‘소규모 고위험군’에 해당할 것으로 전망됐다. 학교 소규모화 지수가 0.25 미만인 곳들로, 연구진은 “학생유입을 위한 별도의 조치가 없는 경우 휴교 또는 통폐합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경북·전남·전북·충남·충북 등 17개 시도 중 5곳은 2025년 전체 초등학교 중 40% 이상이 고위험군에 해당할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1.3%), 대구(6.5%), 대전(8.7%) 등 대도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간 괴리가 컸다.
연구진에 따르면 현재 교육부는 도시지역 초등학교는 240명 이하, 읍 지역 초등학교는 120명 이하일 경우 ‘적정학교 규모 권고 대상’으로 분류한다. 연구진이 이 기준에 따라 소규모 초등학교 현황을 파악한 결과, 2020년 기준 전국 33.1%에 달하는 2096개교가 ‘소규모 학교’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학교 규모는 작아질 것으로 예측되며,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별로 학교 규모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이에 연구진은 “단위 소규모 학교에 대한 직접 지원과 차별화되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며 재정지원이 아닌 ‘교육과정 운영’과 ‘학교 행정업무 경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봤다.
또 중앙정부는 국가차원의 학교규모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지자체와 지역 사회가 각 소규모 학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중앙정부 중심의 학교규모에 대한 정책적 대응 및 지원은 한계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내 소규모 학교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지원 거버넌스 구조가 필요하다”며 “소규모 학교 육성과 지원노력은 교육계만이 아닌 지자체와 지역 사회가 연계하는 지원체제로 전환이 요청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