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빠진 국민들…“정신의료 지원팀 필요”

입력 | 2022-11-01 19:48:00

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원효로 다목적 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유실물센터에 유실물들이 놓여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거리에서 본 사람들 얼굴이 머리에서 떠나질 않아요. 그들이 희생됐을 거란 생각에 사흘째 잠을 못 잤습니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만난 김모 씨(32)가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다. 그는 지난달 29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가 발생하기 30분전까지 그곳에 있었다. 분향소 옆 심리상담소를 보고 15분 간 상담을 받은 뒤에야 김 씨는 “가족에게도 말하지 못한 것들을 털어놨더니 마음이 가벼워졌다”고 했다.

김 씨 뿐만이 아니다. 1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이태원 참사 사망자 156명의 유가족, 부상자, 현장 목격자, 구조 참여자 등을 기반으로 추산한 바에 따르면 이번 참사로 트라우마를 겪을 우려가 큰 인구는 최대 1만 명이다.

그러나 보건복지부가 마련한 상담소는 서울광장 및 용산구 녹사평역 분향소에 천막과 전용 버스로 만든 2곳 뿐이다. 그마저 조문객이 몰리는 분향소에 꾸려져서 정작 트라우마가 가장 큰 유가족과 부상자를 위한 현장의 정신상담 지원은 빠져 있다. 이해국 의정부 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상자가 있는 장례식장과 병원 등에도 현장 상담소를 꾸려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 현장에서 트라우마 피해자의 정신 건강을 초기부터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교수는 “사고 현장에 119와 재난의료지원팀(DMAT)이 급파됐듯이, 슈퍼히어로 집단 ‘어벤저스’처럼 현장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정신의료 지원팀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선진국들은 관련 시스템을 이미 구축한 상태다. 일본 정부는 재난 피해자의 트라우마 관리를 위해 ‘재난 정신의료지원팀(DPAT)’을 운영한다. DPAT 소속 의료진은 평소엔 각자 병의원에서 진료를 하다 재난 발생 시 소집돼 48시간 안에 현장에 파견된다. 이들은 현장에서 트라우마 피해자들을 상담하고 약물 처방까지 하는 ‘야전 병원’ 역할을 한다. 267명이 사망한 2016년 구마모토 지진 현장에는 1만2000명 이상이 파견됐다. 미국에서도 유사한 기능의 ‘재난정신의료지원단(DPO)’이 운영된다.

재난 발생 시 투입할 수 있는 정신의학 의료진을 평시부터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일 서울광장 상담소에는 정신과 전문의가 2, 3명씩 상주했지만 모두 자원봉사자였다. 녹사평역 상담소엔 전문의가 없었다. 김동욱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회장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더 많은 의료진이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인력 풀을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김수연 인턴기자 성균관대 경제학과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