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사설 따라잡기]‘세월호’ 겪고도 나아진 게 없는 안전불감증

입력 | 2022-11-04 03:00:00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이태원 참사는 국내에서 발생한 압사 사고 가운데 역대 최다 인명피해를 낸 사고로 기록될 것이라고 한다. 사실 군중 압사 사고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60여 년 전 한 해 걸러 잇달아 수십 명이 생명을 잃은 압사 사고가 일어났다. 1959년 부산공설운동장에서 시민위안잔치 관중이 소나기를 피해 출입구로 몰리면서 67명이 숨졌고, 1960년 설날을 앞두곤 귀성객들이 서울역 승강장에 몰려 31명이 숨졌다.

이후 그런 대규모 압사 사고는 크게 줄었지만 이태원 참사를 예고하는 크고 작은 사고는 끊임없이 이어졌다. 2014년에는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공연 도중 환풍구가 붕괴되면서 그 위에 올라갔던 관객 16명이 추락해 숨졌다. 특히 코로나19 거리 두기가 해제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열린 축제와 이벤트 행사, 각종 집회에는 대규모 인파가 한꺼번에 몰려들어 인명피해 사고 직전까지 가는 위험천만한 일도 빈번했다.

3년 만의 노 마스크 핼러윈 축제를 맞아 이태원에 인파 10만 명이 몰려들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는데도 그 일대의 혼란을 막기 위해 필요한 안전조치는 크게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의 사전 대비와 현장 통제는 안이하고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경찰이 치안 강화와 교통 통제 등 목적으로 매일 200여 명을 이태원 일대에 배치했다지만 이번 사고를 막기엔 턱없이 부족했다. 특히 사고 하루 전날에도 인파가 몰리면서 유사한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할 뻔했는데도 제대로 된 예방조치는 없었다.

차제에 군중이 몰리는 각종 대형 이벤트에 대한, 나아가 지하철 경기장 공연장 같은 군중 밀집 장소에 대한 보다 면밀한 사고예방과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세계 각국은 위험 수준의 군중 밀집도를 예측해 방지, 대비하는 군중 관리 프로세스 등 각별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안전은 곧 국격(國格)의 가늠자다. ‘한국 속 작은 외국’이라는 이태원에서 벌어진 이번 참사는 대한민국의 안전도를 총체적으로, 나아가 구석구석 살펴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 지진이나 화재, 침몰 같은 각종 재난은 물론이고 산업재해 안전사고가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나는 ‘불안한 사고 공화국’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이 필요하다.

동아일보 10월 31일 자 사설 정리



사설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1. 윗글을 읽고 보일 반응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세요.

① 군중 압사 사고는 선진국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이구나.

② 세계 각국은 군중 밀집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어.

③ 이번 이태원 참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최초의 압사 사고야.

2. ‘이번 이태원 사고는 세월호를 겪고도 나아진 게 없는 우리 사회의 ○○○○○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참사다’라는 문장에서 빈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이 말은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이 둔해져서 사고의 위험에 대해 별다른 느낌을 갖지 못하는 일’을 이르는 단어입니다.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