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 제롬 파월 의장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금리인상 속도를 줄일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라며 “이르면 다음 회의(12월)나 그다음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2022.11.03. 워싱턴=AP/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렸다. 4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이다. 이로써 미국 기준금리는 15년 만에 가장 높은 3.75∼4.0%로 높아졌다. 7월 한국을 처음 역전한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격차도 1%포인트로 벌어졌다. 이 차이가 커질수록 원-달러 환율은 높아지고, 외국 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커진다. 한은의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어제 “금리 속도 조절 시점이 이르면 (12월 열릴) 다음 회의가 될 것”이라면서도 “인상 중단 고려는 너무 이르다. 최종 금리는 이전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12월 인상 폭을 0.5%포인트 ‘빅스텝’으로 줄이겠지만 내년에도 금리 인상을 계속하겠다는 예고다.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의 최고점도 당초 시장 예상치보다 높아진 5%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크게 앞서감에 따라 이달 말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결정이 더욱 중요해졌다. 한은이 3.0%인 기준금리를 높여도 미 연준이 12월에 또 금리를 올리면 1%포인트 차이가 계속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환율이 오르면 원유, 원자재 수입 부담이 가중되고 무역수지도 더 악화될 것이다. 급등한 수입에너지 가격과 그로 인한 공공요금 인상은 이미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5.7% 오르는 데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6개월 연속 5%를 웃돈 물가는 내년 상반기까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금리 인상을 통한 대응이 불가피해졌다.
기준금리의 계속되는 인상은 경기침체와 가계 이자부담 증가,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 고통을 수반하기 때문에 정부, 여당에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긴축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한국처럼 대외의존도가 높고, 자본시장이 개방된 나라가 성급히 금리 인상을 멈추고 금리 역전을 방치하다간 외환위기, 국가신인도 하락 같은 퍼펙트 스톰을 맞을 수 있다. 한은은 좌고우면하지 말고 인플레 억제와 과도한 환율 상승 방어에만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