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주 교수, 기존 칩 업그레이드 성공
조일주 교수 팀이 개발한 브레인칩을 삽입한 실험쥐. 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
지난달 말 서울 성북구 정릉 메디사이언스파크. 한 실험실에 들어서자 책상 위에 놓인 케이지 속 실험 쥐 한 마리가 분주히 먹이를 먹고 있었다. ‘모자’처럼 생긴 장비를 쓰고 있던 실험 쥐는 연구원이 노트북을 조작하자 먹이 먹는 행위를 멈췄다. 케이지 옆에 놓인 컴퓨터 화면에서는 실험 쥐의 뇌 신호가 변했다는 그래프가 요동치고 있었다.
기존의 브레인칩은 실시간 뇌 신호 관찰이 힘들어 약물을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행동을 제어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조 교수가 개발한 칩은 약물 투여와 뇌 신호 측정이 동시에 가능하다. 미세 유체채널과 정밀한 투여량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펌프가 달려 있다. 칩 안에는 뇌 신호 측정용 전극도 집적돼 있어 약물에 반응하는 뇌 신호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 무게도 약 4.6g으로 매우 가볍다.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브레인칩 관련 기업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가 대표적이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돼지와 원숭이 등을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마쳤으며 인간 대상 실험을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국내에서는 우울증 전자약 기업 와이브레인 등이 있다.
조 교수는 “업계에서 브레인칩의 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브레인칩 시장 규모는 2020년 46억 달러(약 6조5200억 원) 수준이며, 2028년까지 연평균 9.1%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조 교수 역시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들을 기업에 이전하는 형태로 사업화를 추진할 생각이다.
다만 아직 상용화를 위해 풀어야 할 기술적 과제들이 남아 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현재 브레인칩 기술 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는 뇌 신호는 2만 개 정도인데, 약 800억 개에 달하는 뇌 신호 종류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뇌에 상처를 내지 않는 ‘비침습성’ 확보도 관건이다. 조 교수는 “중증 질환 외에 두통 같은 일반적 병에도 쓰이기 위해선 뇌에 상처를 내지 않고 브레인칩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