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적자폭 감소에 힘입어 9월 경상수지가 한달 만에 16억1000만 달러 흑자 전환했다. 경상수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도 3개월 만에 흑자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2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9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16억1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8월 30억5000만 달러 적자 이후 한 달 만에 흑자로 전환된 것이다. 전년동월대비 흑자폭은 88억9000만 달러 축소됐다.
경상수지는 지난 4월 외국인 배당 지급,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무역 적자 등의 영향으로 2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가 5월부터 흑자 기조를 이어왔으나 흑자폭은 매달 줄어왔다. 이후 8월 4개월 만에 적자 전환한 바 있다.
다만, 경상수지 흑자폭은 줄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올해 2월과 3월에도 각각 16억4000만 달러, 4억4000만 달러 축소됐고, 5월 65억5000만 달러, 6월 32억2000만 달러, 7월 66억2000만 달러 축소된 바 있다.
경상수지가 적자에서 흑자 전환한 것은 무역수지 적자폭 감소 영향이 컸다. 무역수지 적자폭은 8월 93억9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나 9월에는 37억8000만 달러로 적자폭이 큰 폭 축소됐다.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9월 상품수지는 전년동월대비 4억9000만 달러 흑자로 3개월 만에 흑자 전환됐다. 상품수지는 지난 7월 2012년 4월(-3억3000만 달러)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적자를 보인 후 2개월 간 적자를 이어왔다.
9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4억2000만 달러(0.7%) 감소한 570억9000만 달러를 기록해 2020년 10월(-3.5%) 이후 23개월 만에 감소했다. 석유제품, 승용차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 갔으나 중계무역순수출 둔화 등으로 소폭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51.3%), 승용차(34.9%) 등이 늘어난 반면 화공품(-2.7%), 반도체(-5.0%), 철강제품(-16.5%) 등이 감소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수입은 원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자본재, 소비재 등도 확대되면서 86억3000만 달러(18.0%) 늘어난 565억9000만 달러로 집계돼 21개월 연속 늘었다. 가스(165.1%), 원유(57.4%), 석탄(32.9%) 등이 증가했고 화공품(-1.6%), 석유제품(-22.6%) 등이 감소해 원자재 수입이 25.3% 증가한 가운데, 자본재는 10.6%, 소비재는 13.0% 늘었다.
경상수지 흑자폭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입 증가 속도가 수출 증가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9월 통관기준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7% 증가한 574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18.6% 증가한 612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류를 제외하면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5.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서비스수지는 전년동월 대비 3억4000만 달러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1년 전(-6000만 달러)보다 적자폭은 2억8000만 달러 확대됐다.
운송수지는 11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흑자폭이 7억2000만 달러 축소됐다. 운송수지는 수출화물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2020년 7월(-6000만 달러) 이후 26개월 연속 흑자를 보이고 있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는 5억4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적자폭이 6000만 달러 확대됐다. 연구개발서비스, 전문·경영컨설팅서비스 등 기타사업서비스는 8억4000만 달러 적자로 전년동월 보다 적자폭이 2억5000만 달러 축소됐다.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45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4억9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 중 주식은 주요국 긴축 강화 우려 등의 영향으로 15억3000만 달러 감소하는 등 감소 전환했다. 채권투자는 장기채권 등을 중심으로 30억1000만 달러 증가하는 등 증가 전환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글로벌 주가 하락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5억 달러 줄면서 2020년 3월(-4억9000만 달러) 이후 30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이 중 주식투자는 7억50000만 달러 감소해 2019년 8월(-8000만 달러) 이후 37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고, 채권투자는 2억5000만 달러 늘어 4개월 연속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