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증
이석증 진단을 위해 눈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비디오안진검사.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홍은심 기자
이석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극심한 스트레스, 만성피로, 퇴행성 변화 등으로 인해 이석이 떨어져 나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머리에 강한 충격을 입은 뒤 이석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석증이 생기면 단순히 어지러운 것을 넘어 주변 사물이 돌아가는 듯한 회전감을 느끼게 된다. 30초∼1분 정도 증상이 지속된 후 완화되며 자세를 바꿀 때, 머리를 움직일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머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사라질 수 있지만 머리를 움직이면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
이석증이 의심되면 머리와 몸을 급격히 움직이지 않는 게 좋다. 고개를 돌리거나 뒤로 젖히는 등 과도한 움직임을 삼가며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는 가급적 머리를 세운 채 앉은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석증 진단은 먼저 의사와 상담을 통해 이석증의 증상이 맞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석증을 진단하는 데 ‘딕스-홀파이크’ 검사가 도움이 된다. 이 검사는 환자가 어지럼을 느끼는 특정한 자세를 취하게 한 후 눈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이석증은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수주 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이석 치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고개의 위치를 바꿔가며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원래 위치인 전정기관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증상을 일으키는 반고리관의 위치에 따라 이석치환술의 방법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는 이석증 치료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환서 하나이비인후과 원장은 “이석증은 당장 증상이 사라져도 쉽게 재발할 수 있다”며 “한 번 증상이 생긴 후에는 과도한 머리 움직임은 삼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석증을 겪었다면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음식을 짜게 먹는 등 귀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생활습관도 개선해야 한다. 만성피로도 이석증이 발생·재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을 통해 피로를 관리하는 것이 좋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