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 아이가 사용하는 생리대는 괜찮다는 건가요, 위험하다는 건가요?”
정부가 최근 일회용 생리대와 생리통의 연관 가능성을 인정한 보고서를 공개한 가운데, 어떤 생리대가 부작용을 일으키는지 추가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가 이어졌다.
여성환경연대·한국환경보건학회는 8일 국회 본청에서 강은미 정의당 의원과 공동으로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그 이후를 제안하다’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조사 결과를 뒤늦게 발표한 정부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보고서는 “2018~2019년 단면조사와 2019~2021년 패널조사 결과, 일회용 생리대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 노출 수준에 따라 가려움증·생리통 등 생리 불편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생리대 사용이 인체에 위해한 것은 아니란 입장이다.
이날 토론회 참석자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대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지 정부의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생리대의 휘발성 화학물질 표기를 의무화하고 위해성이 드러나 생리대에 대한 후속대책도 마련하라고 했다.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는 “결과 발표 후 가장 많았던 반응이 생리통 유발 생리대를 만드는 기업이 어딘지 공개하라는 것”이라며 “결과가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의 안전성을 확인할 방법은 없어 답답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성들은 생리대의 개별 화학물질 하나하나에 노출되는 게 아니다”라며 “생리대에 복합 성분이 들어가는 만큼 개별물질의이 아닌 복합적인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기준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바탕으로 유해 생리대에 대한 후속대책과 중장기적 여성건강계획도 수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소장은 “휘발성 화학물질(TVOC) 발생량을 생리대에 크게 표기하도록 의무화하고, 정부가 일회용 생리대 사용자의 건강 피해를 신고받아 추가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박공수 식약처 의약외품정책과 과장은 “현재 국내 제조업체 7개사가 제품을 자체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위해성분은 종류가 많고 제품별 검출량도 상이해 공개하는 데 현실적 한계가 있다. 미국과 유럽도 생리대 VTOC 관리기준은 없다”고 답했다.
식약처는 추가 조사와 관련해서는 “현재 구체적 일정이나 계획에 대해서는 갖고 있지 않다”며 “이번 국회 긴급토론회에서 적극 토론한 내용을 충분히 검토해 식약처 내부에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정부의 소통 의지가 부족하단 지적도 나왔다. 박인숙 청원인 대표는 “다른 건강영향조사는 대국민 발표 자리를 가지는데 생리대 조사는 청원인 대상 설명회조차 없었다”고 했다. 환경부는 청원인 대상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최종 결과 보고회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