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10일로 집권 6개월을 넘어선다. 지난주 갤럽 조사에서 대통령 지지율은 29%였다. 4개월째 30% 안팎을 맴돌고 있다. 지지율이 절대적 평가 척도는 아니지만 공정과 상식, 자유를 앞세우고 출발했던 새 정부 6개월에 대한 국민 여론은 차갑다고 할 수밖에 없다.
국정 경험이나 선출직 경험이 없다는 점만 놓고 보면 윤 대통령을 ‘준비된 지도자’라고 말하긴 쉽지 않다. 다만 여의도 정치 논리에 물들지 않은 게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적지 않았다. 대통령실 이전이 다소 무리하게 결정돼 추진됐지만 평가를 유보하고 지켜보자는 이들도 많았다.
그런 기대는 점점 옅어지고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단지 검찰 출신 중용 논란, 권력기관 장악 논란, 부인 관련 잡음, 여권 내 권력다툼, 대통령 자신의 각종 설화 등 때문만은 아니다. 집권 100일을 넘어 반년이 돼 가도록 미증유의 글로벌 경제위기와 북핵을 둘러싼 안보위기 속에서 대한민국을 어디로 어떻게 끌고 갈 건지에 대한 비전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은 수준을 넘어 위태로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취임 때보다 더 나빠졌다.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한 수준의 경제 한파가 몰아치기 시작했음을 일반 서민도 피부로 느끼고 있다. 내년은 더 어렵다고 한다. 새 정부는 얼마나 절박한지, 이런 경제위기를 돌파할 전략은 있는지, 리더십은 갖췄는지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당장은 이태원 핼러윈 참사 수습에 집중해야겠지만 곧 집권 2년 차다. 북한의 7차 핵실험 위협까지 노골화하고 있다. 어떻게 국정 신뢰를 회복할지 절체절명의 자세로 고민해야 한다. 야당과의 정쟁으로 허송할 때가 아니다. 신(新)적폐청산은 짧고 굵게 마무리 짓고 국회와의 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집권 세력의 체질도 바꿔야 한다. ‘실력 있는 정부’를 표방했지만 검찰, 모피아 출신만 어른거린다.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대통령 눈치만 보는 듯한 형국이다. 조직의 역량은 다양성에서 나온다. 6개월 만에 내각 진용은 완성됐지만 대통령실부터 인적 쇄신을 다시 고민할 때다. 이 모든 것의 중심엔 대통령이 있다. 자신과 주변에 한없이 엄격한 ‘자기희생’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속히 탄탄한 국정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아쉬움, 답답함이 막막함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