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의 자금 조달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신 금리가 연일 오르는 추세다. 안전하게 목돈을 마련해보려는 금융 소비자에게는 적금이 기회가 될 수 있다.
16일 은행연합회에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의 ‘IBK탄소제로적금(자유적립식)’과 전북은행 ‘JB 카드 재테크 적금 (정기적립식)’은 만기 12개월 기준 최고 연 7% 금리를 제공한다.
저축은행권에서는 연 6%대가 가장 높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더블저축은행 정기적금(인터넷뱅킹, 비대면)과 진주저축은행 ‘지니뱅크-정기적금(비대면)’, 청주저축은행 정기적금이 만기 12개월 기준 연 6.00% 금리를 적용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 정기예금은 자금을 유치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적금은 은행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유인하는 마케팅 측면이 크다”면서 “우대 조건으로 급여 이체나 카드 사용, 공과급 납부 등 제시해 부대거래를 유치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축은행권 관계자도 “은행, 저축은행의 고금리 적금은 카드나 마이너스 통장 등 판매 상품을 확장하고 고객 외형을 확대하려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주요 시중은행 적금 상품 중 우리은행 ‘우리SUPER주거래적금’(최고 연 4.55%), 신한은행 ‘신한 알·쏠 적금’(최고 연 4.45%), 하나은행 ‘내맘적금’(최고 연 3.50%), KB국민은행 ‘KB내맘대로적금’(최고 연 3.25%) 등은 급여 이체, 카드 등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1년간 연 7% 적금에 매월 100만원씩 납입한다면 원금 1200만원에 더해 만기에 이자로 45만5000원(세전)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최대 이자를 받기는 만만치 않다. 일부 상품은 우대 조건을 충족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금리는 높지만 월 납입 한도가 낮은 경우도 있다. 전북은행 ‘JB 카드 재테크 적금 (정기적립식)’은 월별 적립 한도가 최대 50만원에 그친다. 제주은행 ‘MZ플랜적금’은 최고 연 6%의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매월 30만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다. 납입 한도가 작으면 ‘목돈 모으기’에는 아쉬움이 크다.
이에 적금에 가입하기 전 은행연합회나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서 금리와 조건을 비교해 보고 개별 은행에 문의하는 게 바람직하다.
비대면이 ‘대세’인 만큼 가입 시에는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게 유리하다. 고금리 상품은 비대면으로만 가입할 수 있는 경우가 대다수다. 상품에 따라 비대면 가입 시 0.1%포인트가량 우대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창구 운영 등의 비용을 절감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