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남들이 정해 놓은 ‘정답 인생’[삶의 재발견/김범석]

입력 | 2022-11-18 03:00:00

김범석 서울대 혈액종양내과 교수


“저희 병원에는 어떤 일로 오시게 되셨을까요? 저쪽 대학병원 기록을 보니 이미 진단도 잘 받고 치료도 다 잘 받고 계시던데요.” “남들이 그러는데 서울 큰 병원에 한번 가서 의견을 들어봐야 한다고 해서….”

꼭 큰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중증 환자도 있지만, 이런 식으로 2차 의견을 구하러 오는 환자가 있다. 남들이 가보라고 하니까, 남들도 다 가니까, 나도 한번 가봐야 할 것 같아서 서울 큰 병원에 와보는 것이다. 이런 질문도 많이 받는다. “남들이 그러는데 ○○이 그렇게 좋다는데 저도 먹어야겠지요?”

소위 남들이 정해 놓은 ‘정답 인생’이라는 것이 있다. 어렸을 때는 멀쩡한 부모가 있어야 하고, 10대에는 ‘인 서울’ 명문대에 가야 하고, 20대에는 대기업에 취직해야 하고, 30대에는 번듯한 배우자 만나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야 하며, 40대에는 서울에 아파트 하나 있어야 한다. 50대에는 한 바퀴 돌아서 다시 아이가 인 서울 명문대에 가야 하고, 60대에는 노후 자금으로 ○○억 정도는 있어야 한다. 이 프레임은 우리 무의식 속에 뿌리 깊게 세뇌되어 있다.

만약 이것만이 정답이고 정답을 못 맞힌 사람은 루저라면 사실 우리 대부분은 루저다. 확률적으로만 봐도 멀쩡한 부모, 명문대, 대기업, 아파트, 번듯한 배우자를 갖춘 데다 공부 잘하는 자식까지 둘 확률은 희박하다. TV 속 드라마에서만 존재한다.

집단주의 사회에서 오랜 관습과 체면 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정답 인생 프레임은 우리를 경쟁과 불안으로 몰아넣는다. 남들 하는 대로 사는 일이 마냥 나쁜 일은 아니겠지만, 남들도 다들 힘들어하는데 왜 그래야 하는지 모른 채 모두가 힘들게 사는 것은 자못 이상하다. 은연중에 타인에게 또는 스스로에게 정답 인생을 강요하는 것은 때로는 폭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더 큰 문제는 남들의 욕망을 욕망하다 보면 정작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에는 둔감해진다는 점이다. 스스로를 억압하며 나 좋은 인생이 아닌 남 보기 좋은 인생을 추구하게 된다.

그렇게 남들이 정해 놓은 정답 인생을 바라보며 아등바등 살다가 덜컥 암에 걸렸는데, 암에 걸려서도 마지막 순간까지 정답 인생을 살려고 하는 것을 보면 못내 안쓰럽다. 옆에서 ‘프로 참견러’들이 이거 해야 한다 저거 해야 한다 지적해대고, 그걸 안 하면 나쁜 보호자, 불량 환자 취급을 하는 것을 보면 화가 난다.

남들이 정해 놓은 정답 인생. 그런데 정작 나도 그것을 원하는 걸까? 남 보기 좋은 인생이 과연 내게도 좋은 인생일까? 인생에 한 번쯤은 남들의 잣대와 시선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나를 위해서 나답게 살아봐도 되지 않을까? 내 인생인데 왜 나는 없고 남들만 내 인생에 있는 걸까? 한 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김범석 서울대 혈액종양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