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돈이 많으면 마누라와 아이는 내게 참 잘하지.
옷 벗으면 날 위해 차곡차곡 개주고, 돈 벌러 나가면 큰길까지 배웅해주지.
돈 벌어 집에 돌아오면 날 보고 함박웃음 지으며, 내 주변을 비둘기처럼 맴돌며 앵무새처럼 조잘대지.
사람은 아주 가난하기도, 또 부유해지기도 하는 법이거늘,
재물만 탐하고 사람은 돌보지 않는다면, 장차 어떻게 될지 두고 볼 수밖에.
(吾富有錢時, 婦兒看我好. 我若脫衣裳, 與吾疊袍오. 吾出經求去, 送吾卽上道. 將錢入舍來, 見吾滿面笑. 繞吾白합旋, 恰似鸚鵡鳥. 邂逅暫時貧, 看吾卽貌哨. 人有七貧時, 七富還相報. 圖財不顧人, 且看來時道.)
―‘내가 돈이 많으면(오부유전시·吾富有錢時)’ 왕범지(王梵志·약 590∼660)
선승(禪僧)이 시를 통해 대놓고 부유할 때와 가난한 경우를 대비한 예는 흔치 않다. 재물 앞에 각박해진 인정세태를 이렇듯 노골적으로 비판하는 건 자신이 세속의 명리와는 동떨어진 승려였기에 가능했는지 모른다. 재물이 있고 없음에 따라 가족조차도 나를 대하는 태도가 수시로 표변할 수 있다. 극도로 가난했다가 큰 재물로 보상받아 부유해지기도 하는 게 인생이련만 재물만 탐하느라 사람을 돌보지 않는 세태가 시인의 눈에는 안쓰럽고 딱하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