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판교캠퍼스에서 불이나 소방대원들이 현장을 살피고 있는 모습. 이날 오후 카카오 등 데이터 관리 시설이 입주해있는 이 건물 지하에서 불이나면서 카카오톡, 카카오택시 등 일부서비스에 장애가 빚어지고 있다. 한 휴대폰에 다음 홈페이지 오류 안내가 뜨고 있다. 2022.10.15 뉴스1
지난 10월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먹통 사태’의 총 피해 신고 건수가 10만5000여 건으로 집계됐다. 전체 10건 중 8건은 카카오톡·다음 메일 등 카카오 자체 서비스 관련 사례였고, 그중에서 90%는 일반 이용자로 파악됐다.
카카오는 지난 1일 ‘1015 피해지원 협의체’의 2차 전체회의에서 10월19일부터 11월6일까지 총 19일간 공식 채널에서 받은 피해호소 사례가 10만 5116건이었다고 2일 밝혔다.
카카오는 전체 83%에 해당하는 사례 8만7198건을 유형별로 분류해 이날 협의체 위원들에게 공유했다. 나머지 17%는 △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카카오 공동체(계열사) 관련 사례로, 각 계열사로 이관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대리운전노조와 따로 협의하는 것처럼 각사별로 피해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기 때문.
카카오 서비스 관련 피해 신고 주체는 일반 이용자(89.6%)에게 집중됐다. 다음은 소상공인(10.2%)과 중대형 기업(0.2%) 순이다.
나머지 67.8%는 금전적 피해와 관련 없는 △문의 △의견 △항의 △격려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2차 회의에는 △송지혜 카카오 수석부사장 △김기홍 소상공인연합회 감사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본부장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공정거래·소비자 보호 전문가인 최난설헌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참여했다.
카카오는 협의체 위원들과 피해 접수 사례에 대한 세부 내용 파악과 함께 보상에 대한 원칙 수립 논의를 진행했다.
이 협의체는 카카오 관련 서비스 장애 피해·보상 지원을 위해 구성된 것으로, 지난달 21일 첫번째 회의를 열었다.
한편 카카오는 오는 7∼9일 열리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에서 서비스 장애 사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책을 공개한다. △남궁훈·고우찬 카카오 비상대책위원회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 △이확영 원인조사 소위원장 △이채영 기술부문장이 발표를 맡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