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치러진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 8개 문항이 현행 고교 수준을 벗어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교육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교육걱정)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8일 오전 11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 수학문항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46개 수학 문제 중 ‘교육과정 성취기준 또는 평가기준’을 벗어났거나, 이에 명시되지 않은 내용을 출제했거나, 대학과정의 내용을 출제한 경우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고교 수준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됐다.
분석 결과, 사교육걱정은 “올해 수능 수학 총 46개 문항 중 8개(17.4%)가 고교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정됐다”고 밝혔다.
고교 수준을 벗어난 문항은 공통과목 6문항(12번, 13번, 14번, 20번, 21번, 22번), 선택과목 2문항이었다. 선택과목 2문항은 모두 미적분(28번, 30번)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적분 30번 문제에 대해서는 “문항 오답률이 94.3%(EBS)에 달해 100명 중 단 5명밖에 맞추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사교육걱정은 분석 결과를 두고 “수능 시험이 공교육의 정상적인 수업에서 배우는 것만으로 충분한 대비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국가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이런 결과는 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가 무너지게 만들어 수업 붕괴, 학교 붕괴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 출제를 막기 위한 대책을 교육부에 촉구했다.
사교육걱정은 우선 수능 출제진 구성을 현행 교수 중심에서 현장 교사 중심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현장 이해도가 높은 교사들이 출제를 맡고, 교수·전문가는 학문적 엄밀성이 필요한 검토단계를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올해 신설된 ‘고난도 문항 검토위원’ 규모도 늘려야 한다고 봤다.
지난해 9월 강민정 의원이 발의한 선행교육규제법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도 촉구했다. 해당 개정안은 수능도 대학별 고사처럼 선행학습 유발 여부에 대한 사전영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당 연도 수능 출제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평가원 수능출제본부는 고교 현장에서 가르치지 않는 내용이 들어 있었던 문항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문형주 평가원 수능본부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3학년도 수능 채점 브리핑에서 “고등학교 현장에서 배우지 않은, 가르치지 않은 내용이 들어 있을 때 저희가 교육과정 위배라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9일) 저희 홈페이지에 각 문항별 교육과정 근거가 공개된다”며 “교육과정 위배 부분은 없었던 거로 지금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종·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