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이 한반도 상공을 처음 비행한지 100 주년 일본도 극찬했던 조선의 천재 파일럿 안창남 고국 방문 비행 통해 민족의 자긍심 일깨워 독립운동 중 30살에 사망
12시 22분 우렁찬 비행기 프로펠러 소리가 울려 퍼졌고, 금강호는 활주로를 내달리며 경성(京城) 하늘로 날아오릅니다. 한반도 하늘을 조선인이 최초로 비행한 순간이었죠. 환희와 감동에 찬 박수 소리가 터져 나왔고, 복받치는 감정을 참다못해 눈물을 흘리는 이도 있었습니다. 5만 관중(당시 경성 인구의 6분의 1)은 목이 터져라! 조종사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이름은 안창남(1901∼1930). 한국 비행사(史)에서 가장 감동적인 순간으로 꼽히는 ‘안창남 고국 방문 비행’의 한 장면입니다.
오늘 12월 10일은, 안창남이 고국 방문 비행을 한 지 딱 10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떴다떴다변비행에서는 민족이 낳은 천재 파일럿 안창남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겠습니다.
역사적인 고국방문 비행을 앞두고 정비를 마친 뒤 여의도 격납고에서 대기 중인 ‘금강호’. 안창남은 이 영국제 단발 복엽기의 몸체 양쪽에 조선 13도 지도를 그렸다. 동아일보DB
민족의 천재 조종사
1913년 8월 29일 용산에서 열린 일제 해군 나라하라 산지의 곡예비행은 열두 살 안창남의 삶을 뒤바꿉니다. 한반도 상공을 난 최초의 인물이 일제 장교라는 사실에 억울하면서도, 그는 “저까짓 것 나도 배우면 저만큼은 넉넉히 할 것”이라며 혀를 찼겠지요. 일찍 아버지와 어머니를 여의었던 그에게 비행술은 일종의 삶의 구원이었는지도 모릅니다. 비행술에 빠져있던 안창남은 1917년 아트 스미스의 곡예비행을 보면서 본격적인 비행사로의 삶을 살기로 마음먹습니다. 그는 휘문고(휘문의숙) 3학년 시절인 1919년 몰래 3000원 (현 가치 약 3억 원)을 들고 일본으로 갑니다. 당시의 비행기는 자동차와 구동 원리, 장비, 정비 등이 상당히 비슷했다고 합니다. 안창남은 일본에서 먼저 자동차 기술을 배웠습니다. 안창남은 비행기 정비와 조립 등을 스스로 할 줄 알았는데, 자동차 기술을 배웠던 것이 큰 도움이 됐다는 분석입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소장한 1923년 일본 잡지 ‘역사사진’ 8월호에 실린 안창남 선생. 1921년 비행학교 졸업 1년 만에 비행면허를 딴 선생은 일본에서도 ‘비행 천재’로 불렸다. 국립항공박물관 제공
소파 방정환 선생도 안창남과 인연이 깊습니다. 안창남과 초등학교 동문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방정환 선생은 1920년 잡지 ‘개벽’의 일본 특파원으로 활동했다고 하는데요. 당시 안창남의 활약을 고국에 소개하기도 했죠. 안창남에 관한 이야기는 당시 동아일보를 통해 널리 알려졌고, 안창남은 고국에서도 큰 인기를 끕니다. ‘청춘가’라는 민요에 “떴다 보아라 안창남 비행기, 내려다 보아라 엄복동 자전거”라는 가사를 입힌 구전 노래가 유행할 정도였죠. 구전 민요들에 ‘안창남’ 이야기를 넣어 개사해 부르는 것이 유행했다고 합니다.
고국 비행이 있기 한 달 전인 1922년 11월 안창남은 또 한 번 천재적인 실력을 과시합니다. 일본 제국비행협회에서 시행한 우편 비행대회에 참가했는데, 비행기를 구하지 못해서 몇 차례 참가를 철회해야 했죠. 가까스로 150마력 비행기를 빌렸는데, 이마저도 고장으로 방치돼 있던 비행기였습니다. 강나진 국립항공박물관 학예사는 “지인들이 사고가 날 수 있다고 참가를 말렸다. 그런데 안창남은 ‘조선인으로서 내가 여기서 포기를 한다면 뭐가 되겠느냐. 나는 사내니까 한번 신청해보자’라고 해서 결국 대회에 참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안창남의 고국 방문 비행 소식을 실은 기사 . <동아일보 (1922.12.10)>
일약 스타로 떠올랐지만, 안창남의 가슴 속엔 “조선 청년들에게 비행술을 가르치고 싶다”는 꿈이 있었습니다. 당시 동아일보는 그의 고국 방문 비행을 주최했는데요. 그는 고국 방문 비행에 앞서 동아일보에 수기를 보내 비행의 이유를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우리도 하면 된다는 남들보다 낫다는 신념을 두텁게 해주기 위해”
고국을 사랑했던 청년
일제는 안창남을 통해 그들의 항공 및 군사 기술을 홍보하고, 그를 앞세워 식민 통치를 미화하려 했던 것이죠. 그런데 안창남은 이를 간파라도 했던 것일까요? 그는 고국 방문 비행에서 역사에 지워지지 않을 명장면을 남깁니다. 안창남은 1923년 1월 월간지 ‘개벽’에서 그날의 비행을 상세히 묘사했습니다.
고국방문 비행에서 창덕궁 위를 배회하며 순종에 예를 표하는 안창남의 금강호. 동아일보DB
빼앗긴 하늘에서 조국을 내려다본 안창남의 마음은 어땠을까요? 그는 여의도에서 이륙해 오늘날의 마포-공덕-서대문, 독립문-평동(안창남의 고향)-광화문-경복궁-창덕궁-동대문-종묘-남대문을 날았습니다. 그는 순종이 칩거하던 창덕궁 상공도 선회하며 예를 표하기도 했죠.
비행만 한 것이 아닙니다. 안창남은 ‘세계에서 가장 앞서 비행기를 발명했던 선조의 피가 혈관에 흐르니 우리도 노력하면…’이라는 내용의 전단을 뿌리기도 했죠. 이진형 국립항공박물관 학예관은 “5가지 색의 오색 전단을 3회에 걸쳐서 만 여장을 뿌렸다. 조선인도 뛰어나다.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긍심을 불어 넣어주려는 시도였다. 일본이 원했던 것과는 다르게 오히려 조선인들의 긍지가 커졌다. 안창남을 주제로한 노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끈 것만 봐도, 안창남이 퍼뜨린 영향력은 엄청났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잡지 ‘역사사진’ 1923년 8월호에 실린 안창남 비행사의 모습.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소장
독립운동의 길
부와 명예가 보장됐지만, 안창남은 독립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심합니다.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일어난 조선인 대 학살 사건을 보면서 독립 투쟁에 헌신하기로 한 것인데요. 일제의 눈을 피해 1924년 중국으로 건너간 그는 중국군에 들어가 비행사와 항공군 사령관으로 활동했고 항공대 비행학교 교관도 역임합니다. 사실 그가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는 소문이 돌면서 테러와 살해 협박을 받기도 합니다. 어느 날 안창남이 일본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이 퍼졌고, 조국에서는 그야말로 난리가 납니다. 당대 최고의 스타였던 안창남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일반인이 미쳐서 쓰러졌다는 기록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망 소식은 오보로 판명됐고, 안창남은 그를 걱정하는 친누나를 보려고 고국을 방문하기도 하죠. 그런데 그는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는데요. 일제의 눈을 피해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의 길로 들어섰던 겁니다.
안창남의 사망 소식이 오보로 정정된 뒤, 안창남이 일본에서 고국으로 돌아와 누나 안창화와 상봉하는 모습. 국립항공박물관 제공
그의 활약은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다른 조선인 비행사들에게도 영감을 주기도 했습니다. 그는 특히 비행사관학교를 세워 여기서 배출되는 조종사들을 통해 독립 투쟁을 하고 싶어 했죠. 1927년엔 비행학교 건립을 위해 300여만 평의 땅을 샀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일본을 이기는 길은 비행술을 익히는 것이라는 게 그의 신념이었던 것이죠.
중국으로 건너가 산시성 타이위안 비행학교에서 비행사들을 길러내던 안창남(왼쪽).
이진형 학예관은 “후학 교육을 위해서는 중국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대만에서도 활동하기도 했다. 그런데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새로운 기체가 하나 들어온다. 본인 스스로 기체를 확인하고 첫 번째 비행을 했는데, 그 비행에서 안타깝게 하늘의 별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더 안타까운 건 안창남의 유해를 아직도 수습하고 있지 못하다는 겁니다. 사고 당시에 안창남을 수습했고 묘도 만들었다고 합니다. 안창남의 묘를 봤다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중국 타이위안시에 안창남이 잠들어 있을 것으로 추정은 됩니다만, 문화대혁명 당시에 묘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금강호의 일러스트 이미지. 안창남은 본인이 직접 실제 비행기의 패턴과 유사하게 디자인 했다고 한다. 안창남이 몰았던 금강호는 뉴포르 항공기로 추정되는 데, 정확히 어떤 기종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동아일보DB
올해는 그의 고국 방문 비행 1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안창남은 민족이 낳은 천재였고, 조국을 사랑했던 청년이었습니다. ‘우리도 할 수 있다’라는 지극 히 평범하지만, 누구도 말하지 못했던 가르침을 하늘에 남긴 영웅이었죠. 국립항공박물관에서 12월 11일까지 안창남 특별전이 열립니다. 100주년에 맞춰서 기사를 쓰다 보니 특별전 날짜가 하루 밖에 남질 않았습니다. 주말을 이용해서 국립항공박물관에 가서 안창남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