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11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2.12.11/뉴스1
12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에 따르면 경제변수와 주택수급지수를 고려한 예측모형으로 주택가격을 전망한 결과, 내년 전국 주택가격 하락폭은 3.5%로, 올해(2.4%)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아파트 가격 하락폭은 4.4%에서 5.0%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우리나라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정점을 지나고 완화된 공시가격과 주택세제가 시행되는 4월 이후부터 하락폭이 둔화되기 시작해 기준금리가 하향 전환될 가능성이 큰 4분기 중 수도권 인기지역부터 보합세 또는 강보합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됐다.
특히 주산연은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아파트가격을 전망했을 경우 내년 중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8.5%,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13.0% 각각 추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내년 주택 인허가 물량은 올해보다 30% 줄어든 38만가구 수준으로 전망되고 착공과 분양물량은 더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산연은 분석했다. 특히 주산연은 인허가 물량이 급감하면 과거와 같이 공급부족이 누적돼 경기회복기에 집값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고금리와 집값 급락·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단으로 내년 상반기 중 건설업체 부도가 급증하고, 하반기부터 이들 업체에 자금을 지원한 제2금융권 부실로 전이돼 우리 경제에 2차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위기확산을 막기 위해 건설사업 금융경색 완화, 보유토지 대체사용방안 강구, 미분양·미입주 주택 해소방안 등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그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때는 주택담보대출과 건설사업에 PF 조달방식이 거의 없었고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평균 38% 수준으로 낮았다”면서도 “최근 단기간 금리가 급상승하고 높은 평균 LTV(평균 50%에 육박)·높은 PF 조달비율로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보다 리스크가 훨씬 더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