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탄소 배출이 많은 수입품에 탄소 가격을 추가로 부과하는 탄소국경세를 도입한다. 화석 연료를 통해 철강재를 생산하는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은 탄소 배출이 많은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유럽연합이 현행대로 탄소국경세를 부과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
탄소국경세가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잡으면서 포스코의 친환경 생산 체제 전환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로이터·AFP통신 등은 EU가 지난 12일(현지시간) 수입품에 탄소국경세를 물리는 탄소국경조정제(CBAM) 도입에 잠정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CBAM은 수입품의 탄소 함유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EU의 탄소배출권거래제(ETS)와 연동해 탄소 가격을 추가로 부과하는 제도다. 사실상 또 하나의 수출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제도가 시행되면 EU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탄소배출량 등 탄소배출 의무사항을 신고해야 한다. 첫 3년간은 앞서 언급한 6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탄소국경세는 철광석 등을 녹여 철강재를 생산하는 철강업계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CBAM 적용 품목의 EU 수출 규모는 지난해 기준 ▲철강 43억 달러 ▲알루미늄 5억 달러 ▲시멘트 140만 달러 ▲비료 480만 달러 등으로 철강이 가장 많다.
이런 이유로 탄소국경세가 논의되기 시작한 2019년부터 포스코 등 국내 철강사들은 탄소 배출 저감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EU가 시범 도입하기로 하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친환경 생산 체제 전환은 더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전기로는 현 단계에서 고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생산설비로 꼽힌다. 고로에서는 쇳물 1t을 생산하는데 평균 2t의 탄소가 배출된다. 반면 전기로 배출량은 고로 대비 4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2025년까지 전남 광양제철소 1기, 2027년까지 포항제철소 1기 등 2기의 전기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가 국내에서 조강(쇳물) 생산량을 늘리지 않을 예정인 만큼, 전기로 완공으로 고로 생산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 7800만t의 탄소를 배출했다. 전기로 신설을 통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7100만t 이하로 감축한다는 목표다. 포스코는 탄소배출량을 10% 줄이면 연간 5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업계 한편에서는 포스코의 전기로 신설 시점이 기존 계획보다 당겨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EU에 이어 미국도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 중인 만큼 탄소 배출 감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