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이 이태원 참사 발생 당일 언론 브리핑을 하면서 손을 떨고 있다. 채널A
22일 특수본 관계자는 “최 서장의 부실한 구조 지휘가 피해 확산의 중요한 원인이 됐다”고 밝혔다.
특수본은 소방당국 근무기록과 현장 폐쇄회로(CC)TV 분석 결과, 최 서장이 현장에 도착한 오후 10시 28분부터 지휘권을 선언한 오후 11시 8분까지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특수본은 사고 당일 오후 11시 7분경 이미 서울시소방재난본부의 상황보고서에 1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내용이 기재됐고, 소방 내부 단체 대화방에도 이 같은 내용이 보고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처럼 심각한 상황을 인지하고도 최 서장이 적절한 소방 대응 단계를 발령하지 않은 것으로 특수본은 의심하고 있다.
당시 소방 대응 1단계는 용산소방서 현장지휘팀장이 오후 10시 43분에 발령했다. 10명 이상 인명피해가 발생할 때 발령하는 대응 2단계는 자치구 긴급구조통제단장인 용산소방서장도 발령할 수 있으나 당시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이 오후 11시 13분에 발령했다.
특수본은 오후 11시 22분 인파 끼임이 완전히 풀린 것으로 보고 있다. 최 서장이 대응 단계 발령 등 지휘를 제대로 했다면 이 시각을 앞당길 수 있었다는 게 특수본 판단이다.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이 지난달 26일 오전 2차 경찰조사를 받기위해 서울 마포구 이태원 사고 특별수사본부로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