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공우주물체의 한반도 위협…5년 전에는 중국, 이번에는 미국

입력 | 2023-01-09 10:21:00

9일 오전 4시 분석 기준 미국 지구관측위성의 추락 예상 범위 내 한반도 통과 예측 궤적, 대전 중심 반경 500㎞(노란색)와 1000㎞(붉은색) 범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3.01.09


9일 오전 7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계경보’를 발령했다. 추락 중인 미국의 지구관측위성 ‘ERBS’가 한반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경보 발령과 함께 ‘우주위험대책본부’를 소집했다.

과기정통부는 “추락위성은 대기권 진입 시 마찰열에 의하여 해체되고 연소되어 대부분 소실될 것으로 예상되나 일부 잔해물이 넓은 범위에 걸쳐 낙하할 수 있어 최종 추락 지역에서는 주의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항공우주국도 7일 이 위성의 지구 재진입을 알리며 “지구 어딘가에 해를 입힐 위험성은 9400분의 1로 낮다”고 설명했다.

인공우주물체에 대한 과거 주요 경보 발령 사례는 2018년 ‘톈궁 1호’ 추락이 있다. 당시에도 한반도가 추락 예측 지점에 포함되며 ‘경계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톈궁 이후 경계경보까지 간 것은 이번 미국 ERBS가 처음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우주물체 추락은 대기 흐름과 밀도 등 각종 환경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어, 우주물체가 지구에 가까워지며 예측치가 점차 정밀해진다.

2018년 톈궁 1호에 대해서도 처음에는 3월30일~4월3일 추락이 예측됐지만, 시간이 지나며 4월2일 오전 9시에서 10시 등 1시간 간격으로 좁혀지기도 했다. 당시 추락 전날인 4월1일 오후 9시30분까지도 한반도는 추락 예측지점에 포함됐지만, 4월2일 오전 3시30분에 추락 예측 지점에서 제외되며 피해 우려가 불식됐다. 결국 톈궁 1호는 남대서양에 추락했다.

이번 미국의 ERBS의 추락 예측도 초기(8일 오후 5시 기준)에는 9일 오전 9시에서 오후 5시였으나, 추가 분석에서 9일 오후 12시20분에서 오후 1시20분으로 좁혀졌다. 다만 이번에는 1시간 단위로 좁혔음에도 한반도가 추락 예측 지점에 포함됐다. 이 분석에 따르면 대전을 중심으로한 반경 1000㎞ 이내에 위성이 도달하는 시간은 오후 12시49분에서 오후 12시54분이며, 반경 500㎞ 이내로 좁히면 예측 시간은 오후 12시50분에서 오후 12시53분이다.

과기정통부는 한반도 통과 예측 시간 전 재난안전문자 등을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한국의 우주 위험을 감시하고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산하 우주환경감시기관(NSSAO)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등록 인공우주물체는 4만5000여개 가까이 있으며, 2만여개가 아직 궤도에 남아있다.

NSSAO는 각종 망원경과 레이저 추적 시스템,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등을 통해 우주를 감시하고,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NSSAO는 대피 요령으로 “사전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본인이 주로 활동하는 장소 중심으로 행동요령을 미리 파악해 놓는 것이 좋다”며 “만일 추락예측시점 즈음에서 주변에 보지못한 큰 고철 연료통과 비슷한 생김새의 추락 잔해물을 발견하면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119로 신고하도록 한다”고 소개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서 우주 위험 대비 태세를 점검했다. 지난해 11월 이뤄진 이 훈련은 자연우주물체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대응매뉴얼에 따른 신속한 상황보고, 위기경보 단계별 대응절차, 유관기관 및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등이 점검됐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