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하는 게 일입니다’ 낸 김민석 씨 무연고 사망 장례 지원 단체서 일해 서류에 없는 고인 인연 늘 찾아와 “모두가 애도 받아야 한다고 믿어”
김민석 씨
‘혹시 세상 어딘가에 고인의 죽음을 함께 슬퍼해줄 누군가가 존재하지 않을까.’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를 지원하는 비영리단체 ‘나눔과나눔’에서 일하는 김민석 씨(30)는 서울시가 보낸 장례의뢰 공문을 받을 때면 서류에는 없는 고인의 인연을 늘 찾는다. “가족관계증명서와 제적등본이 담지 못하는 인연이 분명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2020년 8월 서울 마포구 사무실로 도착한 장례의뢰 공문에도 고인에 대해 알 수 있는 단서는 거의 없었다. 고인이 살았던 성동구 여관 주소가 유일했다. 한 줄뿐이었지만 고인을 알 만한 누군가에게 부고를 전해야 하는 김 씨에게는 놓쳐서는 안 될 정보였다. 혹시 여관 주인이 고인과 생전 친분을 쌓지 않았을까. ‘고인의 죽음을 애도해줄 단 한 사람’을 찾기 위해 그는 그날 퇴근 뒤 여관을 찾아갔다.
‘애도하는…’ 표지
공영장례는 가족이 시신 인수를 거부하는 등 장례를 치러줄 이가 없는 망자의 마지막 길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제도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등이 조례를 두고 운영하고 있다. 김 씨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조례가 유명무실한 지자체도 상당수”라고 지적했다.
고인의 영정사진을 제작하는 것도 김 씨의 일이다. 공영장례를 치르는 고인 중에는 생전 영정사진을 찍어두지 않고 세상을 떠나는 이가 적지 않다. 그래서 단체사진 속 고인의 얼굴을 확대해 쓸 때가 많다고 한다. 조문객이 장례식에서 위화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김 씨는 아주 작은 사진이라도 찾아낸 뒤 드로잉으로 얼굴 아래 양복이나 한복을 덧그린다. 고인에게 존엄한 모습을 선물하는 것이다.
공영장례가 치러지는 서울시립승화원에 놓인 영정사진을 보고 생전 일면식이 없는 시민들이 때로 찾아와 꽃을 놓기도 한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