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1㎡에 11명 밀집, 4차례 넘어져…이태원 희생자 0.5t 압박받아

입력 | 2023-01-13 12:12:00


10.29 이태원 참사를 수사한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13일 참사의 직접적 원인이 군중 밀집도가 높아져 자의에 의한 거동이 어려운 ‘군중 유체화’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망원인은 ‘압착성 질식사’와 ‘뇌부종(저산소성 뇌소상)’ 등으로 확인됐다. 특수본 출범 74일 만이다.

특수본에 따르면 참사 당일 오후 9시부터 군중이 떠다니는 ‘유체화 현상’이 발생했다. 이어 군중압력에 의해 ‘압착성 질식사’, ‘뇌부종(저산소성 뇌손상)’ 등으로 158명이 사망하고 19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사고 발생 직전인 오후 10시 13분경에는 군중 밀집이 더욱 심화됐고, T자형 내리막길을 통해 인파가 떠밀려 내려오며 ‘군중 유체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참사 당일 이태원역 각 출구를 통해 오후 5시부터 승차 인원 2129명보다 약 4배 많은 8068명이 하차하기 시작했고,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는 매 시각 약 1만 명이 하차했다.

이 사이 전체 하차 인원은 5만 1639명으로 인근 역이나 버스·택시 등을 이용한 인원까지 포함 이 수치는 더 늘어난다. 사고 당시 군중 밀도는 1㎡당 7.72~8.39명이며 사고 직후인 오후 10시 25분경에는 9.07~10.74명까지 증가했다.

영국 서퍽 대학(University of Suffolk) 키스 박사(G. Keith Still)에 따르면 1㎡당 7명 정도의 군중 밀집도에서 군중은 유체 덩어리와 같이 변한다. 이 경우 사람들의 신발이 벗겨지거나 옷이 찢기는 상태가 발생하고 군중 속 개개인의 불안증세를 악화시켜 호흡곤란 증세를 유발한다.

금오공대 박준영 교수는 참사 당시 최초로 전도(넘어지는) 현상이 일어난 지점부터 약 10m에 걸쳐 끼임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날 오후 9시~10시 참사 현장 군집 밀도는 1㎡당 6∼10명 사이였고, 평균 2200∼5500뉴턴(약 224kg∼560kg 무게) 정도의 힘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 전도는 오후 10시 15분 발생했고 이후 약 15초 동안 뒤편에서 따라온 사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전도되는 상황이 4차례 이어졌다. 이 후에도 상황을 모르는 사람들이 계속 내려오면서 10분간 지속됐고 10m에 걸쳐 수백 명이 압착됐다.

이후 경찰이 현장을 통제하면서 사람들이 뒤로 물러나기 시작했고 사고 발생 약 15분 후인 오후 10시 31분부터 구조가 시작됐다. 박 교수는 이러한 상황에서 참사 사망자들이 10분 이상 저산소증을 겪다가 외상성 질식으로 사망했다고 판단했다.

그는 또 참사 현장인 해밀턴호텔 골목이 좁은데도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것이 사고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좁은 골목에서 양방향 통행이 가능하면 밀집도가 높아진다.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양방향에서 일방통행으로 바꾸면 밀집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세계음식문화 거리도 일방통행으로 바꾸면 올해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송치훈 동아닷컴 기자 sch53@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