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광화문에서/김선미]‘제망힐튼가’… 한 건축가와 기업인의 유산

입력 | 2023-01-14 03:00:00


김선미 산업1부 차장

나는 어느 쇠락한 호텔의 작은 정원을 지켜온 150살 모과나무입니다. 올겨울은 유독 쓸쓸합니다. 유럽풍 정자와 대나무 숲, 작은 연못이 있는 이곳을 더 이상 아무도 찾지 않습니다. 지난 40년간 도시의 자랑거리였던 호텔이 지난해 말 운명을 다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영업 종료 안내문을 키스하는 연인의 조각상에까지 붙여야 했을까요. 고풍스러운 격조를 지켰던 호텔에 대한 예의가 아닙니다. 임대계약 기간이 남았다는 어느 양복점만이 ‘영업 중’ 문구를 내걸고 있습니다. 아래로는 서울역, 위로는 남산이 있는 이 건물의 터에는 오피스 등 복합시설이 들어선다고 합니다. 이곳은 밀레니엄 힐튼 서울입니다.

최근 HILTON 간판을 떼어낸 밀레니엄 힐튼 서울의 외관. 김선미 기자


호텔 정원의 150살 모과나무 앞에서. 김선미 기자

영업종료 안내문을 붙인 연인의 키스상. 김선미 기자

힐튼은 단순한 호텔이 아닙니다. 고 김수근 건축가(1931∼1986)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김종성 건축가(88)가 설계한 건축문화유산입니다. 그는 근대 건축의 거장인 루트비히 미스 반데어로에(1886∼1969·이하 미스)의 제자였습니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그를 국내로 불러들여 지은 힐튼은 미스의 대표작인 미국 뉴욕의 시그램빌딩(1958년)을 빼닮았습니다. ‘적을수록 더 좋다’ ‘신은 디테일에 있다’는 미스의 명언이 적용된 걸작이지요. 힐튼은 알루미늄 커튼월 마감에 양쪽 끝을 30도 구부린 삼단 병풍 형태가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그걸 부순다니 건축계가 탄식하는 것이죠.

힐튼에는 건축을 사랑한 기업인의 숨결이 곳곳에 깃들어 있습니다. 김 전 회장의 부인인 정희자 전 힐튼호텔 회장(83) 이야기입니다. 한양대 건축학과 출신으로 우범지대였던 남산 일대를 정비해 건축의 초석을 놓았어요. 미 하버드대에서 동양미술을 공부하고 프랑스 파리 조르주생크 호텔과 하와이의 와일레아 호텔 등을 다니며 키운 심미안으로 호텔의 꽃과 집기를 손수 챙겼습니다. 더 많은 국민이 예술을 접해야 한다며 국내 호텔 로비에 선구적으로 미술품을 전시했습니다. 그가 “(호텔이 허물어지는 게) 마음이 아프다”고 하는데 제 마음이 다 무너지더라고요.

지난해 말 밀레니엄 힐튼 서울 로비 내부. 김선미 기자

지난해 말 호텔 로비에서는 40년 호텔 역사를 돌아보는 작은 전시가 열렸습니다. 사라지는 것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꽤 왔어요. 유리 장식장에 진열된 프랑스 식당 ‘시즌스’와 이탈리아 식당 ‘일폰테’의 식기를 보면서 저마다 ‘힐튼의 추억’을 떠올렸을 거예요. 1995년 ‘파라오’ 디스코텍의 금박 꽃무늬 직원 유니폼은 요절한 천재 디자이너 알렉산더 매퀸도 놀랄 만한 디자인이던걸요. 그때가 화양연화(花樣年華·인생의 가장 찬란한 시절)였을 겁니다.


정원 바로 옆에는 남대문교회가 있습니다. 한국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인 제중원(1885년)에서 태동한 이 고딕양식 석조 예배당은 근현대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은 ‘서울 미래유산’(서울시가 2014년 지정)입니다. 힐튼호텔이라는 소중한 건축물도 우리 곁에 남을 방도가 없을까요. 빛바랜 모과를 주렁주렁 가지에 달고 있는 노거수인 저는 어디로 가게 될까요. 그동안 힐튼에서 참 행복했습니다.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비는 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祭亡妹歌)’에서 제목을 따왔습니다.



김선미 산업1부 차장 kimsun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