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은행 창구의 모습.ⓒ News1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 대출창구와 주요 대출·부동산 커뮤니티에는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빚 부담을 토로하는 차주들이 늘고 있다. 이들은 은행들이 금리인하 혜택을 내놨음에도 실제 체감은 적다고 지적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인상 자체 요청에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등의 대출금리 인하책을 잇달아 내놓았다.
은행들의 금리인하 노력에 올 초 연 8%를 넘었던 주담대 변동금리 최고금리는 현재 가까스로 7% 초중반대로 내려왔으나, 저금리 기조 때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형 금리는 지난주(19일 기준) 연 4.64~7.43% 수준을 기록했다. 은행연합회 통계에서 차주들이 17개 은행에서 지난달 실제 이용한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6.33%에 달했다. 11월 대비 0.12%p 더 올랐다.
불과 1년여 전만 해도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 초중반에서 5% 초반대에 형성돼 있었다. 1년 새 이자부담이 많게는 2배 이상 늘어난 차주가 적지 않다.
1~2년 전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4억원을 연 3.5% 금리(30년 만기, 원리금균등 조건)로 빌린 경우 대출 초기 월이자 부담은 116만원(연간 약 1392만원)이었다. 원금을 합친 원리금은 179만원 정도였다. 그러나 대출금리가 연 7%로 오르면 초기 월이자는 233만원(연간 약 2796만원)으로 2배가량 늘어난다. 원리금까지 더하면 은행에 매월 266만원을 갚아야 한다.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3192만원으로, 직장인 연봉의 상당 수준에 육박한다. 월급을 고스란히 은행에 내야 하는 셈이다.
ⓒ News1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레이얼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지난주 시카고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금리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앞서 이달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결정지은 뒤 기자 간담회에서 “물가가 정책목표상으로 수렴해가는 것을 확신하기 전까지 금리인하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연내 금리인하 논의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