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 선전전을 진행 중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측과의 민사소송 관련 법원 2차 조정안을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공사는 지난 25일 법원의 2차 조정안에 이의를 신청했다고 26일 전했다.
전날 전장연에 이어 또 다른 당사자인 공사 역시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조정 절차 종료와 함께 손해배상 청구 소송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럼에도 공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공사는 휠체어로 출입문 개폐를 방해하는 방식 외의 시위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 지연행위에 대한 기준이 불확실하다는 점, 채권·채무 부존재 조항이 모호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우선 공사는 2차 조정안이 휠체어 등을 위치시켜 출입문 개폐를 방해하는 시위만을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다른 고의적인 열차 지연 동반 시위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공사에 따르면 전장연 측은 휠체어에서 내려와 기어가거나, 휠체어 수십 대가 역마다 승하차를 반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열차를 지연시킨 사례가 있다. 공사는 이러한 시위가 고의적인 지연을 발생시킴에도 허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공사가 꼽은 또 다른 문제점은 채권·채무 부존재 조항의 범위가 모호하다는 것이다. 공사는 시위 중 깨물리는 등 폭행을 당했던 직원 개인이 손해배상을 청구하고자 해도 ‘아무런 채권·채무가 없음을 서로 확인한다.’는 조항에 막혀 피해 보상 요구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봤다.
이태림 서울교통공사 영업계획처장은 “조정안 거부 및 법적인 조치는 불법 시위이자 시민 불편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적 대응”이라며 “시민 불편과 피해 방지를 위해 공사가 할 수 있는 모든 대응을 다할 것이고, 더불어 현장 안전·질서 확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공사는 2021년 1월22일부터 11월12일까지 전장연이 벌인 7차례 지하철 불법 시위로 피해를 봤다며 3000만원 상당의 민사소송을 냈다.
공사측은 “장애인·비장애인을 가리지 않고 불법적인 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끼친다면 그에 합당한 금액을 배상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소송에 성실히 응해 이와 같은 선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