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가의 길’ 펴낸 김욱동 교수 “번역가 덕목은 독창성 아닌 성실 기존과 다른 번역 집착하다 오역”
김욱동 서강대 명예교수(왼쪽 사진)와 ‘번역가의 길’ 책 표지. 김욱동 교수 제공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어떻게 번역할 것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영국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의 ‘햄릿’은 번역본만 200권이 넘는데, 그중에서도 한국 독자들에게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널리 알려진 이 독백은 동일한 문장으로 번역된 적이 거의 없는 번역계의 뜨거운 논쟁거리였다. 번역가들 사이에 경쟁이 붙으면서 원문의 구조나 뜻과 거리가 먼 번역이 나오기도 했다.
영문학자로 ‘노인과 바다’(민음사)를 비롯해 30종이 넘는 명작을 번역한 김욱동 서강대 영문학부 명예교수(75)는 최근 펴낸 ‘번역가의 길’(연암서가)에서 “(원문과 멀어진) 온갖 번역이 난무하는 건 기존 번역과 다르게 독창적으로 번역하려는 의욕이 빚어낸 오류”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남녀가 평등한 번역을 위해서는 과감해지기도 한다. ‘여교사’처럼 특정 직업에서 성별을 드러내는 표현은 원문을 훼손하더라도 그냥 ‘교사’로 번역한다. 이미 직업을 나타낼 때는 인물이 남성인지 여성인지가 중요하지 않은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이다. ‘아내’라는 표현에도 “어원상 여성을 집 안에 있는 사람으로 보는 편견이 담겨 있다”고 보고 번역할 때 ‘부인’이라는 단어를 쓴다. 김 교수는 “단어 하나를 바꾸는 것이 보이지 않는 가부장적 질서를 무너뜨리는 초석이 될 수 있다”며 “번역가는 그럴 책무가 있다”고 했다.
이어 김 교수는 “번역에도 유통기한이 있다”고 강조했다. 작품을 10년에 한 번씩은 새롭게 번역해야 한다는 것. 그는 2008년 번역해 출간한 ‘앵무새 죽이기’를 2015년 다시 번역해 내기도 했다. “시대에 따라 언어도 변할뿐더러 독자의 감수성도 변합니다. 변화하는 시대의 감수성까지 옮길 줄 아는 번역가가 좋은 번역가죠.”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