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탕수수 농장서 번 돈…독립 운동에 보탠 하와이 이민자들을 기억해야”

입력 | 2023-02-05 13:34:00

이덕희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




이덕희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은 3일 충남 천안시 독립기념관 겨레의집에서 “1903년 미국으로 처음 건너간 하와이 이민 1세대들이 어렵게 살면서도 뜻을 모아 독립운동을 지원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한다”고 했다. 독립기념관 제공



조정래의 소설 ‘아리랑’ 속 인물인 방영근은 일제 강점 전인 1904년 집안 빚 20원을 갚기 위해 ‘미지의 땅’ 하와이로 간다. 그는 땡볕 아래 사탕수수 농장에서 고된 노동을 마친 저녁이면 아리랑을 부르며 눈물을 적신다. 이는 실제 1900년대 초 고국을 떠나 하와이로 이주한 1세대 이민자들의 삶이었다.

1903년 1월 13일, 하와이로 노동이민을 간 121명의 ‘방영근’들로 시작된 미주 한인 이민 역사가 올해로 120주년을 맞았다. 이덕희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82)은 지난해부터 국가보훈처 후원으로 1세대 이민자들의 묘비 58점을 탁본했다. 사탕수수 농장에서 번 돈을 십시일반 모아 안중근 의사(1879~1910) 등을 지원한 무명의 독립 운동가를 발굴하는 사업의 일환이다.

탁본을 기증하기 위해 3일 충남 천안의 독립기념관을 찾은 이 소장은 독립기념관 겨레의집에서 진행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하와이 1세대 이민자 모두가 독립유공자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하와이 초기 이민자 약 7400명 중 미주 본토로 건너가거나 환국하지 않고 하와이에 남은 이민자는 4000여 명. 이들 중 상당수는 1908~1910년 독립운동 기금 모금에 참여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친일 대한제국 외교고문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1851~1908)를 살해한 전명운(1884~1947), 장인환 의사(1876~1930)와 안 의사의 재판기금 모금에 각각 2018명, 1595명이 힘을 모았다.

이 소장은 “힘들게 일하면서도 나라 잃은 설움을 대물림하지 않겠단 목표 아래 피땀 흘려 번 돈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자녀를 억척같이 가르친 덕분에 지금은 많은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지도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웃었다. 현 하와이주 부주지사인 실비아 장 루크(장은정)를 비롯해 한인 이민자의 후손들이 하와이주 대법원장, 호놀룰루시 경찰청장 등 요직을 지냈다.

3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공개된 김노디 지사(1898~1972)의 묘비 탁본. 김 지사는 202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독립기념관 제공

이 소장은 1963년 미국으로 건너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와 남캘리포니아대(USC)에서 각각 사회학·도시계획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딴 뒤 호놀룰루시 도시계획과 공무원 등을 거치며 30년간 도시계획 전문가로 활약했다.

2004년 잘 되던 사업을 접고 이민사 연구에 발을 들였다. 2003년 한인 이민 100주년 기념 사업 준비를 도맡았던 이 소장은 이듬해부터 각종 자료를 발굴하고 수집, 검증해 6대까지 이어져온 ‘코리안 디아스포리아’의 역사를 기록 중이다. 이 소장은 “호랑이가 없어 토끼가 왕 노릇을 한 것“이라며 몸을 낮췄다. “이민사를 정리하고 기념하는 일을 하려면 한국어와 영어 모두 자유자재로 구사하면서 주, 시 정부가 돌아가는 구조를 꿰고 있어야 했습니다. 도시계획 분야에서 제가 쌓아온 명성이 이민사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됐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활동이 중단된 최근 3년 동안은 1세대 이민자들의 묘비 명단 작성에 주력했다. 그는 “묘비에서 그간 찾기 어려웠던 고인의 출생지나 가족 관계 등 예상 밖의 많은 정보가 나와 공적이 확인된 백인숙, 오창익, 함삼여 등 12명이 독립유공자로 추서됐다”고 했다. 독립기념관에 따르면 하와이 초기 이민자 중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받은 사람은 70여 명에 불과하다.

이 소장은 시급한 과제로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26년 하와이 빅아일랜드에 조성했던 ‘동지촌’ 숯가마 사업 터 관리를 꼽았다. 동지촌은 사탕수수 농장을 떠난 한인 이민자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여의도 면적보다 큰 약 388만㎡ 규모의 땅을 사들여 농사, 목장 및 숯가마 운영 등을 위해 만든 터전이다. 올해 보훈처 사업으로 독립운동 사적지 표지판이 세워질 예정이지만 보존 관리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사적지 보존을 통해 120년 전 미국으로 이민한 한인들이 갖은 고초와 역경을 겪으면서도 나라를 되찾겠다는 절박함으로 고국의 독립을 지원했다는 사실을 잊혀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 소장)


천안=최훈진기자 choigiz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