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반도체입국 ‘도쿄선언’ 40년… 제2, 제3 반도체 지금 씨 뿌릴 때

입력 | 2023-02-08 00:00:00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7일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를 찾아 QD-OLED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사업전략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8일은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가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사업 진출을 선언한 지 40년이 되는 날이다. 후발주자인 삼성이 반도체 첨단 기술인 초고밀도집적회로(VLSI)에 대규모 투자를 선언하자 당시 세계는 ‘무모한 도전’ ‘과대망상증 환자’라며 비웃었다. 하지만 ‘어려울 때일수록 미래 산업에 투자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이 판단은 한국 경제의 흐름을 바꾼 결정적 순간으로 꼽힌다.

한국의 반도체 신화는 기업의 끈질긴 의지, 우호적인 국제 환경,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의 합작품이었다. 기술 개발에 매달린 삼성은 반도체 진출 선언을 한 그해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 64K D램 개발에 성공했고, 이후 잇달아 ‘세계 최초’ 수식어를 달며 성장 가도를 달렸다. 1980년대 세계 최강이었던 일본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견제는 한국에 시장 확대의 기회로 작용했다. 정부도 반도체 육성 장기계획, 삼성 기흥캠퍼스 공장부지 지원 등으로 뒷받침했다.

‘도쿄 선언’ 40년이 지난 현재 한국 반도체가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위기는 갈수록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고 글로벌 수요 부진에 따른 ‘반도체 한파’도 길어지고 있다. D램을 비롯한 메모리 시장에서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경기에 민감한 메모리반도체 편중에서 탈피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스템 등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과제도 있다. 소재나 부품, 장비 국산화에도 힘을 써야 한다. ‘챗GPT’로 시작되는 인공지능(AI) 시장의 가파른 성장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의 기회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동시에 반도체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제2, 3의 반도체’를 찾는 노력도 시급하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10대 품목 중심의 수출, 생산 구조가 고착화된 상태다. 새로운 대표선수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제외한 주력 상품 대부분은 중국의 거센 추격에 직면해 있다. 반도체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바이오, 모빌리티, AI, 로봇 같은 미래 먹거리를 육성해 우리 경제를 함께 이끌게 해야 한다. 지금 당장 시작하지 않으면 10년, 20년 후 간판 산업이 없는 이류 국가로 전락할 수도 있다.

이는 기업의 힘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세계화가 새로운 변곡점을 맞은 지금 각국은 수출 규제, 보조금, 세액공제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전략사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한국도 연구개발(R&D), 투자, 인재 확보 등 전 분야에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한국 경제가 위기라지만 맨땅에서 시작하던 과거에 비할 바는 아니다. 40년 전 뿌렸던 씨앗이 ‘반도체 신화’의 꽃을 피웠듯이 정부와 기업이 합심해서 다시 한번 한국 경제가 ‘퀀텀 점프’하는 기적을 일궈내야 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