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성과·퇴직금 많다” 당국 질타에…은행권 “노사 합의사항인데” 난감

입력 | 2023-02-14 17:36:00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News1

금융당국에 이어 대통령까지 나서 시중은행의 고액 성과급과 퇴직금에 대한 질타를 쏟아내면서 은행권의 속앓이도 깊어지고 있다. 은행권에서도 노동비용을 줄이면 경영 측면에서 유리한 면이 있지만, 성과·퇴직금 등은 노조와의 합의사항이기 때문에 독단적으로 결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퇴직금의 경우 금융권의 비대면화가 가속화되면서 인력 구조조정이 시급해 고액 연봉의 직원을 다수 유지하는 것보단 일회성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최대한 퇴직을 유도해야 하는 상황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의 돈잔치” 언급 이후 은행권의 고액 성과급과 퇴직금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의 돈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들의 고통이 크다”며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향후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튼튼하게 쌓는 데에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최근 고액의 성과급과 퇴직금 지급, 대규모 배당 등을 실시한 은행권에 대한 비판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됐다.

국내 대형 금융지주들은 지난해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에 힘입어 당기순이익이 16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호실적을 거둔 은행권은 직원들에게 기본급 300~40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희망퇴직자들에게는 법정퇴직금과 희망퇴직금을 합쳐 1인당 평균 6억~7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대책 마련 지시에 금융당국은 즉각 은행권의 성과보수체계 점검을 예고하고 나섰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성과보수 체계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의 취지와 원칙에 부합하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점검을 하겠다”고 밝혔다.

은행 현금인출기(ATM)에서 시민들이 입출금을 하는 모습.ⓒ News1

은행권은 대통령과 금융당국의 연이은 질타에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사실 은행 입장에서도 성과급이나 퇴직금 등 노동 관련 비용을 최대한 절약하는 것이 경영상 비용 효율면에서도 유리할 것”이라며 “그러나 노조와의 합의사항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은행 임금은 금융노조가 사용자협의회와 매년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통해 큰 틀의 총액임금 인상률 상한을 정한 뒤, 각 금융회사 노사가 임단협을 통해 별도로 정하고 있다. 성과급의 경우 은행별로 상한제(캡)를 통해 일부 인상률이 제한된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된 퇴직금은 금융업계의 디지털전환에 따른 구조조정 측면에서 불가피한 상황이다.

은행권은 최근 대면 업무가 비대면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영업점을 폐쇄하고 모바일 영업을 확대해나가는 추세다. 이로인해 고액연봉의 유휴인력이 늘어남에 따라 인력 구조를 슬림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별퇴직금 등 일회성 비용을 지불해서라도 조직과 고정비용 규모를 줄여나가야 한다.

은행 관계자는 “희망퇴직금도 노조와의 합의사항으로 적당한 금액이 제시되지 않으면 대상 직원들의 퇴직을 이끌어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장기적인 그룹 경영과 비용 효율화 측면에서 볼 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