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갑자기 찾아온 해방… 독립 협상 전무했던 韓日[박훈 한국인이 본 20세기 일본사]

입력 | 2023-03-03 03:00:00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 재산청구권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측 대표 구보타 간이치로(동그라미 안)와 한국 측 대표 김용식 당시 주일 공사가 악수하고 있다. 아사히신문 제공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


《1951년에 열린 제1차 한일회담 예비회담에서 한국 측 양유찬 대표가 “Let us bury the hatchet(화해합시다)”라고 하자 일본 측 지바 고(千葉皓) 대표가 “What is bury the hatchet?(뭘 화해하자는 말입니까?)”라고 했다. 양 대표는 기가 막혔을 테지만, 이보다 식민지배에 대한 한일 양국의 인식 차를 잘 보여주는 장면은 없을 것이다. 이어 1953년 10월 15일 제3차 한일회담 재산청구권위원회 회의에서는 일본 측 수석대표 구보타 간이치로(久保田貫一郞)의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 유명한 ‘구보타 망언’이다.》




“日 덕에 조선 발전” 구보타 망언

1953년 6월 구보타가 작성한 극비 외교문서 ‘일한회담 무기 휴회안’. “이승만이 세계의 고아가 되려는 정책을 취하며 세계의 지탄을 받고 머지않아 어쩔 수 없이 은퇴하게 될 것”이란 내용이 담겨 있다. 동아일보DB

구보타는 “일본은 36년간 많은 이익을 한국인에게 주었다. 일본이 (한국에) 진출하지 않았더라면 한국은 중국이나 러시아에 점령돼 더욱 비참한 상태에 놓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한국 측 수석대표 홍진기는 “마치 일본이 점령하지 않았더라면 한국인은 잠만 자고 있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말하고 있으나, 한국인은 스스로 근대국가를 만들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한일회담은 그 후 4년 반 동안이나 열리지 못했다(이원덕 ‘한일과거사처리의 원점’).

이 발언들이 어느 정도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느냐는 차치하더라도, 아마 이 두 가지 인식이 일제 식민지시대를 바라보는 한일 양국민의 대체적인 입장일 것이다. 물론 패전 후 오랫동안 일본의 진보, 리버럴 지식인들을 비롯해 적잖은 일본 시민들이 식민지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견지해 왔으나, 나는 많은 일본인들의 속내에는 ‘그래도 일본 때문에 조선이 발전한 면도 많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한편에 있음을 수시로 느껴 왔다. 표현하지 못했던 그런 속내가 최근의 우경화 분위기 속에서 분출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인들은 패전 직후 이미 식민지배에 대한 입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었다. 1946년 9월 일본 정부 대장성(大藏省)은 외무성과 협의하고, ‘재외재산 조사회’를 설치해 ‘(극비)일본인의 해외활동에 관한 역사적 조사’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모두 35권에 달하는 방대한 문서인데, 그중 총 10권이 조선편이다. 여기에 경성제국대 교수였던 스즈키 다케오(鈴木武雄)가 쓴 ‘조선통치의 성격과 실적―반성과 반비판’이라는 문서가 실려 있는데, 아마도 조선식민지에 대한 당시 일본 정부와 엘리트들의 입장을 대표한 내용일 것이다. 그는 일본의 식민지배는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미숙한 점이 있어 조선인의 지지를 얻지는 못했지만, 그 주관적 의도만큼은 조선을 발전시키려고 한 것이었다는 이른바 ‘선의의 악정’론을 주장했다.


他 식민지들의 ‘독립 협상’


다른 칼럼에서도 쓴 적이 있지만 조선식민지에는 식민지 역사상 특이한 점이 많이 있다. 1910년이라는, 세계사적으로는 제국이 해체되던 가장 늦은 시점에 이미 민족의식이 충만한 국민을 무리하게 식민지화했다는 점, 식민지배 기간이 35년으로 식민사상 가장 짧았다는 점, 오랫동안 역사와 문화를 공유해 온 이웃 나라를 식민지화했다는 점 등이다. 거기에 하나 덧붙이자면 장래의 식민지 독립에 관한 논의가 식민본국-식민지 간에 일절 없었다는 점이다. 다른 지역의 경우 식민본국과 식민지 사이에 장래에 대한 일종의 ‘로드맵’이 있었거나, 적어도 그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과 인도는 공동의 적에 대한 투쟁(인도는 제1차 세계대전에 150만, 2차 세계대전에 250만의 군인을 제공했고, 수많은 사상자를 내었다) 과정에서 미래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독립이나 자치를 포함해 식민지의 존재 양태에 대한 다양한 안들이 검토되었다(박지향 ‘영국적인, 너무나 영국적인’). 프랑스와 베트남의 경우는 식민지배 기간과 전쟁(1945년 이후 베트남의 독립전쟁) 과정에서 길고 지루한 협상을 계속했다. 미국과 필리핀은 필리핀의 장래에 대해 진지한 대화를 나누었으며 1930년대 중반 필리핀 독립에 관한 법안이 미 의회를 통과했고, 2차 대전 종결 후 필리핀은 즉각 독립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식민지의 리더들은 다가올 미래를 어느 정도 예견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자신들의 입장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식민본국에 대한 감정도 완화, 또는 상대화할 수 있었다. 이들에게 독립은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노력과 협상 여하에 따라 그 경로가 어느 정도는 통제 가능한 것이었다. 반면 조선의 해방은 친일 세력뿐 아니라 독립운동 세력에게도 뜻밖의 것이었다. 적어도 해방 5년 전까지만 해도 5년 후의 해방을 예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정말 “도둑처럼 해방이 찾아왔다”(함석헌).


日패전에 직접 대화 없었던 韓日


게다가 조선을 통치하던 일본은 2차 세계대전의 패전국이었다는 점도 중요하다. 영국, 프랑스, 미국의 경우는 승전국이었기 때문에 식민지에 식민본국의 통치력이 유지되는 가운데 식민권력과 현지 엘리트 사이에 협상 과정을 거치면서 권력이 점진적으로 이양되었다(프랑스-베트남은 협상 결렬로 전쟁 발발). 그러나 조선의 엘리트들에게 전쟁 후 독립을 논의할 상대는 일본이 아니라 미국이었다. 식민본국과의 협상 경험과 축적도, 그들과의 협상채널도 거의 없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분리가 이뤄졌다. 한일은 협상과 논쟁을 통해 식민 지배를 ‘정산’할 기회가 없었던 것이다.

1945년 7월 독일 포츠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 등 연합국 정상들이 만나 제2차 세계대전의 처리를 논의하는 모습.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당황하기는 일본 측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은 카이로와 포츠담 선언을 수용하여 조선을 포기하는 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지만, 그 인식에 있어서는 혼선을 보였다. 일본 역시 조선의 독립이라는 프로그램을 거의 상정하지 않았던 것이다. 포츠담선언 수락(1945년)과 동시에 조선이 독립한 것인지, 대한민국 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1948년), 아니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효(1952년)로 조선 독립이 인정된 것인지 명확한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35년간의 식민 지배를 어떻게 위치 지을 것인지, 그리고 그를 가져온 1910년의 한일합방조약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그러했다.

이런 상태에서 해방 후 6년 만에 대면한 양국 엘리트 사이에 벌어진 저 대화는 ‘미정산’ 상태인 역사 인식의 현격한 차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다. 이후 일본은 과거사에 대해 십수 차례 사과했지만 곧 이를 무색하게 만드는 갖가지 ‘망언’들을 해왔고, 이는 한국인의 대일 감정을 악화시키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박훈 서울대 역사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