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챗GPT, 100일만에 1억명 사용… “2020년대의 아이폰 모멘트”

입력 | 2023-03-10 03:00:00

[챗GPT 100일]
검색-SNS서 교육-사무용 AI까지
글로벌 빅테크들 앞다퉈 서비스… 韓 SKT-네이버 등도 AI전쟁 참여
대중들 폭발적 호응에 시장 급성장… “2030년 2경740조원 경제효과”



지난달 6일(현지 시간) 미국 켄터키주 렉싱턴의 초등학교 교실에서 한 남학생이 ‘봇(Bot)을 찾아라’라는 놀이를 하고 있다. 챗GPT가 작성한 글과 학생들이 쓴 글을 구별하는 놀이이다. 렉싱턴=AP 뉴시스


‘아이폰 모멘트가 찾아왔다.’

이달 초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투자보고서를 통해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을 이같이 표현했다. 1990년대에 인터넷, 2000년대 온라인 검색, 2010년대 스마트폰이 새로운 경제를 창출했듯 AI도 세계 경제 지형을 바꾸는 분기점이 됐다는 의미다. 지난해 11월 30일 챗GPT가 세상에 공개된 지 100일 만에 나온 평가다.

챗GPT의 등장이 ‘아이폰 모멘트’로 불리는 가장 큰 이유는 대중의 열광이다. 이른바 ‘스마트폰 혁명’ 이후 메타버스나 웹3.0,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같은 혁신은 아직 광범위한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16%만이 비트코인에 투자했고, 메타의 가상현실(VR) 헤드셋은 많은 사람들이 아직 불편해한다.

챗GPT는 다르다. 등장 5일 만에 사용자 100만 명을 확보했고 현재 1억 명까지 늘어났다. 윤리적 우려 속에서도 글로벌 빅테크들은 앞다퉈 서비스를 내놓는 중이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스냅, 메타, 세일즈포스 등이 “서비스 오류가 있을 수 있어 미리 미안하다”고 밝히면서까지 황급히 AI 투자에 나섰다. 한국에서도 SK텔레콤, 네이버 등이 AI 전쟁에 뛰어들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 생성형 AI 열풍에 ‘일하는 문화’도 격변

“일하는 문화가 완전히 바뀔 겁니다.” 7일(현지 시간) 미 테크 기업 세일즈포스는 기업용 생성형 AI ‘아인슈타인GPT’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아인슈타인GPT는 고객들에게 보내는 e메일을 써주고, 마케팅이나 기업 홍보를 위한 아이디어를 짜는 일도 도와준다. 또 기업용 메신저 슬랙에는 알아서 답변을 만들어 주는 기능이 추가된다. 세일즈포스는 그동안 고객관계관리(CRM)와 슬랙 등 기업용 프로그램을 개발해 왔는데 일반 업무에 AI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검색부터 소셜미디어, 교육에 이어 사무실까지 생성형 AI 서비스가 확산된 것이다.

각 서비스는 AI의 윤리적 우려에도 확산 중이다. 소셜미디어 스냅챗을 운영하는 스냅은 최근 자사 유료 구독형 서비스인 스냅챗 플러스에 ‘마이AI’라는 GPT 기반 서비스를 탑재했다. 오픈AI의 언어생성모델 GPT 기반이지만 MS의 ‘빙AI’나 챗GPT와 말투나 성격이 다르다. “나는 너의 친구”라고 소개한 뒤 계속해서 수다를 떨도록 유도하는 식이다. 스냅이 마이AI를 발표하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도 황급히 페이스북을 통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자체 개발 AI를 병합시킬 것”이라고 선언했다.

생성형 AI의 서비스 모델로 가장 먼저 주목받은 ‘검색’ 분야에선 MS와 구글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신중한 구글이 아직 ‘바드’를 대중에게 내놓지 않고 있는 반면 MS의 빙AI는 고객 대기를 받는 형태로 사용자를 늘리고 있다. 인스타카트 등 쇼핑앱은 요리 정보를 알려주는 AI 서비스를, 스픽 등 영어 교육 앱은 AI튜터 등을 공개하고 사용자를 모으고 있다.


● “2030년까지 16조 달러 경제효과 확산”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대중적 열기를 바탕으로 수많은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점을 들어 AI가 2030년까지 15조7000억 달러(약 2경741조 원)의 부(富)를 창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존재해온 기술이라도 특정 상품을 계기로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아이폰 모멘트’로 평가하는 이유다.

오픈AI가 이달 초 개발 소스인 API를 공개함에 따라 일반인들도 간단한 프로그래밍 능력만 있으면 개인 맞춤형 챗GPT까지 만들 수 있게 됐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레딧’에서는 자기가 원하는 형태의 챗GPT 응용 방법이 나돌 정도다. 수요 확산으로 AI 반도체 등 관련 밸류체인도 주목을 받고 있다.

WSJ는 “테크 산업에서는 타이밍이 전부”라며 “데이팅 앱 틴더의 ‘매치그룹’이 아이폰과 함께 대형 기업으로 성공한 것처럼 앞으로 수년 내 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