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
독일 베를린 박물관섬의 입구인 ‘제임스-사이먼 갤러리’. 오래된 건물과 어울리도록 변주한 새 건물의 조화가 돋보인다. Photo courtesy of Simon Menges
여러분 안녕하세요,
2009년 3월 독일 베를린의 어느 박물관. 텅 빈 건물인 이곳에 베를린 시민들이 입장하기 위해 긴 줄이 늘어섰습니다. 가을에 정식으로 개관하기에 내부에 있어야 할 유물들은 아직 설치되지 않은 상태.
신박물관이 있는 지역은 19세기 프로이센 왕국의 소장품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베를린의 ‘박물관 섬’입니다. 박물관 섬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신박물관은 왜 텅 비어있고, 베를린 시민들은 이곳으로 몰려들고 있었던 것일까요?
그것은 이 박물관이 전쟁으로 무너지고 수십 년 동안 방치되었다가 막 복원을 마쳤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박물관을 복원하는 일을 맡은 것은 8일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영국의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70)였습니다.
새롭게 거듭난 아픈 역사
독일 베를린 신박물관. 폐허로 남겨졌던 벽을 재활용 벽돌로 복원하고, 가운데 현대적인 계단과 복도를 더했다. Courtesy of SPK / David Chipperfield Architects, photo Joerg von Bruchhausen
19세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야심찬 프로젝트로 시작됐지만, 모든 건물이 세워진 지 9년 만인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박물관들은 문을 닫게 됩니다.
그 중 신박물관은 1943년과 1945년 베를린에 가해진 공습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전쟁 이후에는 동독 점령 하에 놓여지면서 60여 년 간 폐허로 방치되었다고 합니다.
독일 시민들에게 신박물관은 전쟁과 분단이라는 아픈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었죠. 이 곳을 복원하기로 결정하고 1993~1997년 3단계에 걸친 국제 공모 끝에 치퍼필드가 프로젝트를 맡게 된 것이었습니다.
대신 남아있는 역사 중 일부를 보존하되, 완전히 부서진 곳은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절충안을 선택했습니다.
누더기를 이어붙인 천처럼 여러 재료가 섞여있는 신박물관 벽면의 모습. Photo courtesy of SMB / Ute Zscharnt for David Chipperfield Architects
이를테면 총탄이 맞은 흔적이 있는 기둥은 그대로 복원해 고통스러운 역사를 드러냈습니다.
사라진 공간을 다시 만들 때에는 재활용 벽돌이나 과거의 건물에 사용됐던 것과 비슷한 소재를 선택하되, 현대적인 미니멀리즘 방식을 적절히 섞었죠.
치퍼필드는 이 과정을 “수백만 번의 기술적, 미학적, 정치적 선택이 이어졌다”고 설명합니다. 어떤 것은 살리고 없애야 할지를 이 건물이 속한 도시와 역사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며 오랜 시간 고민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렇게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1년의 지난한 과정을 거친 복원 작업은 앙겔라 메르켈 당시 총리로부터 “유럽 문화사에 길이 남을 건축물”이라는 찬사를 받았고, 이 때를 계기로 치퍼필드는 세계적인 건축가가 되었습니다.
드러나지 않는 것의 가치
영국의 거장 윌리엄 터너의 회화에서 영감을 얻은 켄트의 공공미술관 ‘터너 컨템포러리’의 모습. 안개가 자욱한 터너의 그림처럼 아스라이 사라지는 느낌을 준다. Photo courtesy of Simon Menges
CNN은 “비정형적 형태의 프랭크 게리, 굽이치는 곡선의 자하 하디드, 콘크리트의 질감을 살린 안도 다다오 등 대표적 스타일이 있었던 기존 수상자와 정 반대되는 건축가를 선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프리츠커상 심사위원회는 “재능 있는 건축가는 때때로 자신의 존재감을 지워버리기도 한다”며 “세계 여러 도시에 있는 치퍼필드의 건축은 보자마자 그의 작품임을 알 수 없는 것도 있지만, 그것은 치퍼필드가 그만큼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건축이 있는 환경과 맥락을 존중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디자인의 배경으로는 치퍼필드가 자란 환경과 경력을 쌓아온 이력을 꼽을 수 있습니다. 어릴 적 영국 잉글랜드 남부 데본의 농촌에서 자란 그는 수의사가 꿈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술과 체육 외에는 공부에 소질이 없었고, 대학을 가지 못해 킹스턴 아트스쿨에 진학했다가 영국의 권위있는 건축전문학교 AA에서 공부를 하게 됩니다.
그 후 저명한 건축가인 리처드 로저스, 노먼 포스터 아래에서 일을 했지만 그의 첫 프로젝트가 펼쳐지기 시작한 것은 일본이었습니다. 1985년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의 매장 인테리어 디자인을 하면서 눈에 띄어 일본으로 건너가 건축 일에도 손을 뻗었습니다.
그 후 독일과 이탈리아 등 유럽에서도 프로젝트를 맡게 됐죠. 고국인 영국에서 인정받은 것은 그 뒤였습니다.
데이비드 치퍼필드. photo courtesy of Tom Welsh
치퍼필드는 인터뷰에서 스스로 타고난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고, 외국에서 일을 시작하며 다양한 문화들의 차이를 깨닫게 됐다고 합니다.
덕분에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주어진 환경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됐다고도 하죠.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를 비롯해 지금은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그의 현재 최대 관심사는 기후 변화와 사회적 불평등이라고 합니다.
눈길을 사로잡는, 새롭고 반짝이고 화려한 것을 모두가 원하는 시대입니다. 이런 때 프리츠커상 심사위원회는 오래된 것을 부수지 않고 되살리고, 스스로를 드러내려 애쓰지 않는 건축가를 선정한 것은, 잠시 멈춰서 정말 무엇이 중요한 것인가를 돌아보자는 의도는 아니었을까요?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 photo courtesy of Noshe
※ ‘영감 한 스푼’은 예술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창의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계 전반의 소식을 소개하는 뉴스레터입니다. 매주 금요일 아침 7시 발행됩니다.
▶뉴스레터 구독 신청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김민기자 kimmin@donga.com